매일신문

'먹는 코로나 치료제' 복제약 제조 허용…빈곤국 등 보급

미국 제약사 MSD가 공개한 실험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 연합뉴스
미국 제약사 MSD가 공개한 실험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 연합뉴스

미국 제약사 MSD(머크 샤프 앤드 돔)는 자사가 개발향 먹는(경구용)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치료제를 빈곤 국가 등에 보급하는 목적으로 타 제약사가 복제약을 제조하는 것을 허용키로 했다.

27일 로이터 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MSD는 유엔(UN, 국제연합) 지원 의료단체인 '국제 의약 특허풀(MPP)'과 자사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주 성분인 '몰누피라비르'를 다른 제약사들이 제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특허 사용 협약에 합의했다.

이 협약에 따르면 MPP는 복제약 제조사들에 몰누피라비르 특허 사용권을 제공한다. 제조사들이 생산한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에 대해 특허 사용료를 면제해주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세계 105개 저·중소득 국가들이 코로나 치료제 확보에 큰 도움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먹는 방식의 치료제는 예방을 위한 백신과 달리 접종 전문 인력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보관 환경 역시 큰 구애를 받지 않기 때문에, 의료 및 방역 인프라가 열악한 빈곤국들이 더욱 환영할만하다는 관측이다.

찰스 고어 MPP 이사는 "코로나19와 관련해 처음으로 이뤄진 이번 자발적 라이선스 계약이 다른 계약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화이자와 모더나 등 유수 백신 제조사들이 국제사회 및 세계보건기구(WHO) 등의 거듭된 요청에도 라이선스를 내놓지 않은 것을 가리키는 발언으로도 읽힌다.

MSD는 지난 10월 초 임상 3상에서 몰누피라비르가 코로나19 환자 입원율 및 사망률을 절반가량 줄였다고 발표했다. MSD는 지난 8월 초부터 경미한 코로나 증상을 보인 미국, 영국, 일본, 대만 등 세계 23개국 비입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3상 시험을 진행했다.

총 755명 참가자 가운데 385명에게는 몰누피라비르를, 377명에게는 위약(플라시보)을 투여, 29일 동안 양 집단 상태를 비교했는데, 몰누피라비르 복용 환자 중 7.3%만이 병원에 입원했고, 사망자는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반면 위약 복용 환자의 입원율은 14.1%였고, 사망자도 8명이 발생했다.

MSD는 오는 연말까지 1천만명분 경구용 치료제를 자체 생산할 계획인데, 이 가운데 미국이 170만명분 공급 계약을 맺은 상황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