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또 헬스장만 고위험시설"…실내체육단체, '백신패스' 철회 촉구

3일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실내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3일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실내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백신패스' 철회를 촉구하며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 업주들은 백신을 접종한 사람만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미접종자들의 환불 요구가 이어진다고 불만을 호소했다. 연합뉴스

실내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이 이달부터 시행된 '방역패스'(백신패스, 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정책의 철회를 촉구했다.

대한실내체육시설총연합회·필라테스피트니스사업자연맹·요가비상대책위원회 등은 이날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실내체육시설 백신 패스 반대' 집회를 열고 "고위험시설로 낙인 찍는 행태를 멈추고 백신패스를 철회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이달 1일부터 시행된 방역패스가 실내체육시설을 차별하는 조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방역체계가 전환된 이후 식당·카페 등은 비교적 조치가 완화됐지만, 실내체육시설은 방역패스 때문에 오히려 운영에 제동이 걸렸다는 것이다.

이들 단체는 "헬스장 등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운동하며 방역을 철저하게 했다. 마스크를 벗고 침을 튀기는 음식점과 카페 등에는 적용하지 않는 백신패스 도입 기준이 무엇이냐"고 반발했다.

박주형 대한실내체육시설총연합회 대변인은 "회원권으로 운영하는 시설은 일시적으로 환급해주면 수천만원을 손해본다. 멀쩡히 다니고 있던 미접종자 고객들의 환불액이 수천만원에 달한다"며 "실내체육시설을 고위험시설, 혐오시설로 낙인찍는 행동을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강기영 대한요가회비대위원장은 "임신을 하거나 지병이 있어 백신을 못 맞고 운동으로만 체력 관리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현장에 많다"며 "운동이 약이다. 실내체육은 규제와 억압의 대상이 아닌 또 다른 백신"이라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서는 군복을 입은 사람들이 "백신 증명제를 선포한다"고 외치며 실내체육인들을 총살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한편 지난 1일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방역패스는 보다 안전한 일상회복으로의 전환을 위해서 단기적으로 불가피한 조치이자 위험도를 낮추는 아주 중요한 핵심 조치"라며 방역패스 도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거듭 드러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