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범계 "선거개입 의사 없다…대검 공용폰 압색 문제 없어"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전체회의에서 2022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전체회의에서 2022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9일 고발사주 의혹 수사·감찰과 관련해 "선거에 개입할 의사와 의지가 없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날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이 "윤석열 후보 하나를 죽이기 위해서 민주당과 정부·검찰·공수처가 총동원됐다. 이것이 선거 개입이 아니고 뭐냐"고 따져묻자 "제가 이 사건에 임하는 데 있어서 단 한치도 의심받을 행위를 한 바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장관은 "그 당의 후보도 법무부·검찰·여당이 자료를 공유하며 흠집 내려는 거대한 공작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말을 했다"며 "이 사건은 다 복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고 말했다.

그는 "하늘에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 없이, 자료를 공유한 적도 없고 공작한 적도 없다"며 "(법사위에) 여당 의원들이 있지만, 저하고 자료 공유한 의원 계시냐. 없다"고 잘라 말했다.

박 장관은 대검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 압수수색에 대해서도 "그것은 사유폰이 아니고 공용폰이다. 정보주체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며 "보관자의 임의제출에 의한 감찰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언론 사찰 의혹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초기화돼서 특별한 자료가 있지 않다. 우려하듯이 언론에 대한 (감시)라는 주장엔 동의하기 어렵다"며 "그런 취지로 당사자가 항변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

대검 감찰부는 지난달 29일 윤 후보가 검찰총장으로 재직할 때 대검 대변인이 쓰던 공용 휴대전화를 영장 없이 임의제출 형태로 압수하고, 당사자 참관 없이 포렌식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불법 압수수색', '언론사찰' 등의 논란이 불거졌다.

이후 이달 5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대검 감찰부 압수수색을 통해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한 감찰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는 대검의 '대변인 공용폰 감찰'이 공수처의 '하청 감찰', '주문형 감찰' 아니냐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한편, 박 장관은 대장동 의혹과 관련해 "'50억 클럽' 중에서 박영수 전 특별검사, 권순일 전 대법관 부분의 수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곽상도 의원에 대해 수사 중이냐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답했다.

곽 의원에 대한 수사가 너무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에는 "일정 부분 공감한다"며 "특혜와 나머지 수사가 두 축인데 로비 부분에 대한 수사가 지연된 것 같다. 열심히 수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