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고령자·장애인 등 감염 취약층 방역 고삐 더 바짝 당겨야

요양시설이나 장애인·노숙인 등 감염 취약층에서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증가해 백신 조기 추가접종 등 대책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이달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시행으로 방역 규제가 완화돼 외부 접촉이 늘고 요양원과 무료급식소,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시설의 확진자 대다수가 백신 접종을 완료한 '돌파감염' 사례로 고령자 등 취약층의 중증화 위험이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방역 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때다.

10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누적 사망자는 3천12명으로 지난해 2월 20일 첫 사망자를 기록한 이후 20개월여 만에 3천 명 선을 넘어섰다. 최근 1주간 일평균 사망자도 17명으로 지난 9월 한 달간 일평균 6.5명, 10월의 11.9명과 비교해 대폭 늘었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고령자 등 취약층을 중심으로 위중증자와 사망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고령자·장애인이 머무는 시설에서 다른 시설로 감염이 번질 위험이 크고 공공 격리 중에도 확진자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여서 추가접종 등 대책도 서둘러야 한다. 9일 하루 위중증으로 입원한 사례가 전국에서 35명에 이르는 것만 봐도 감염 취약층에 대한 방역 강화가 얼마나 시급한 현안인지를 말해준다.

방역 당국은 그동안 고령층과 의료기관 종사자의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 간격을 6개월로 고수해왔다. 유럽 등 외국의 기준에 맞춘 것이다. 하지만 '위드 코로나' 이후 백신 접종을 일찌감치 마친 고령자와 의료인의 돌파감염이 증가하면서 추가접종 시기를 더 앞당겨야 한다는 여론이 커졌다. 이에 정부는 10일 의료기관 종사자와 입소자의 추가접종 시기를 5개월로 단축하는 내용의 '의료기관·노인여가복지시설 방역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굼뜬 대응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지금이라도 미접종자 시설 출입 제한, 종사자 진단검사 강화 등 방역 수칙을 점검하고 더는 집단감염이 확산하지 않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