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미술을 이끈 선구자 5인을 기억하자."
대구문화예술회관은 개관 30주년을 맞아 대구 미술 형성에 큰 역할을 하면서 후학들에게도 가르침을 마다하지 않은 지역 근·현대 예술가들을 기리는 '시대의 선구자들'전을 열었다.
대구문화예술회관 1~5 전시실에서 열리는 이 전시는 ▷죽농 서동균 ▷태소 주경 ▷극재 정점식 ▷목랑 최근배 ▷이산 홍성문 등 5명이 그 주인공이다. 이번 전시는 서화, 서양화, 한국화, 조각 등 분야별 선구자들의 시기별 작품과 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그들의 족적과 후대에 남긴 가르침을 기념하고 있다.
서동균(1903~1978)은 18세에 석재 서병오 문하에서 서화를 배웠고, 1936년부터 스승이 만든 교남시서화연구회를 물려받아 운영했으며 해방 이후 영남서화회로 개칭한 후에는 후진 양성과 서예가들을 배출했다. 이번 전시에서 30여 점에 이르는 그의 서화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주경(1905~1979)은 서울 출생으로 한국 서양화 1세대이다. 19세 때 그린 '파란'(1923)은 우리나라 최초의 추상화로 알려졌다. 일본 도쿄에서 공부했고 광복 후 대구에 정착하며 후학을 길러냈다. 탄생 100주년 기념전 이후 한 동안 볼 수 없었던 그의 작품 20여 점을 감상할 수 있다.
정점식(1917~2009)은 경북 성주 출생으로 1964년부터 계명대 교수로 재직했고 1984년 퇴임 후 명예교수로 후학 양성과 함께 작품 활동에 매진했다. 대구미술가협회(1955), 신조회(1972) 등 발족과 결성에 힘썼다. 194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작품 20여 점을 볼 수 있다.
최근배(1910~1978)는 함북 명천에서 출생했고 일본 동경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제19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탄금도'로 동양화 특선과 함께 창덕궁상을 받았고 1965년 효성여대 생활미술과 교수로 취임했다. 작가의 초기 서양화 작품을 비롯해 동양화 기법의 인물, 정물, 풍경화 등 30여 점을 선보인다.
홍성문(1930~2014)은 경북 김천 출신으로 1954년 서울대 조소과를 졸업했다. 시인으로 등단하기도 한 작가는 1963년부터 1995년까지 대구교대, 효성여대, 영남대 교수로 재직했으며 63미전(1963), 이상회(1969), 경북조각회(1980) 창설에 힘썼다. 작가의 조각과 드로잉 30여 점을 소개하고 있다.
관람은 무료. 전시는 12월 18일(토)까지. 문의 053)606-6139.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