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위중증 500명 정도까지는 대응 가능하다"던 정부…의료 여력 한계 달했다

단계적 일상회복 중단 기준인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75%' 이미 넘겨

15일 오전 광주 남구 다목적체육관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을 받으러 온 주민이 문진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오전 광주 남구 다목적체육관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을 받으러 온 주민이 문진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매일 500명 가까이 늘면서 의료체계 대응여력이 한계에 다다랐다.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을 일시 중단하는 '비상계획' 실시 기준으로 언급한 '감염병 전담병원의 병상 가동률이 7일 이동평균 60% 이상일 때',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이 75% 이상일 때'를 머잖아 넘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6일 0시 기준 위중증 환자 수는 495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후 또다시 최다치를 기록했다. 400명대에서 꾸준히 상승세를 나타내던 위중증 환자는 전날 하루에만 24명이 늘어 직전 최다 기록이었던 지난 13일의 485명을 넘어섰다.

정부는 이달 1일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하면서 확진자 급증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한 바 있고, 위중증 환자 역시 500명 정도까지는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지만 예상보다 빠르게 '500명' 기준에 육박한 것이다.

위중증 환자가 계속 증가하면서 병상 부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환자가 집중된 수도권의 경우 중증환자 전담병상 가동률은 76.1%로 '비상계획' 발동 기준인 75%를 이미 웃돌고 있다.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 4개 중 3개 이상이 사용 중인 셈이다. 전국 기준으로도 61.7%(1천127개 중 695개 사용)에 달해 여력이 충분한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정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위중중 환자가 500명이 넘는다고 해도 현재 의료체계에서는 감당이 가능한 범위라고 설명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현재 진행 중인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을 멈추고 '비상계획'을 발표해야 할 상황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며 "수도권의 경우, 중환자실 가동률이 올라가고 있지만 타지역 이송이 가능하고, 대규모 유행보다는 고령층·특정 시설 중심으로 유행이 진행되면서 위중증 환자 규모를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선 병원에서는 이미 의료 체계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줄을 잇고 있다.

정부가 최근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자 두 차례의 행정명령을 통해 급한 대로 추가 병상 확보에 나섰지만 코로나19 중증 환자를 치료할 의료 인력이 한정된 상황에서 병상만 확보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기존 병상과 의료인력을 코로나19 환자용으로 투입할 경우 다른 일반 중환자 치료에도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날 정부가 소집한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장 긴급회의에 참석한 정혜민 서울대병원 재난의료본부 담당교수는 "병상 가동률이 70%라고는 하지만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실상 '만실' 상태"라며 "응급중환자실과 소아중환자실 병상을 줄여 인력을 투입하고 있어서 의료진들이 심각하게 소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지금 병원에서 항암 치료나 수술 등이 밀리고 있어 병동 전체가 살얼음판"이라며 "의사 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도 부족해 사기도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정부의 병상 추가 확보 예비명령까지 시행하게 되면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부 측은 실효성 있는 의료 인력 풀 지원을 위해 감염내과와 일반내과, 특히 호흡기 쪽 인력을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