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지율 정체를 언론 등 남 탓으로 돌리는 이재명 후보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10~14%포인트로 나타나고 있다. 이 후보 지지율은 줄곧 30%대 초반 박스권에 갇혀 있다. 열세가 지속되자 이 후보 측은 언론과 문재인 정부, 시사평론가에게 불만을 쏟아낸다.

이 후보 측은 지난 12~14일 "언론 환경이 매우 나빠 우리는 잘못한 게 없어도 잘못한 게 있을 수 있다는 소문으로 도배가 된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의 이 후보에 대한 비판 발언을 언론사들이 그대로 보도하는 것은 불공정하다'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에 이의 신청을 제기하기도 했다. 문 정부에 대해서도 불만을 내비치고 있다. 이 후보는 정부의 지역 화폐 예산 삭감과 관련해 "홍남기 경제부총리를 포함한 정책 결정 집행자 여러분들께서 따뜻한 방 안의 책상에서 정책 결정을 하는 것이 현장에선 정말로 멀게 느껴진다"고 날을 세웠다. 지지율 하락이 억울하겠지만, 남 탓할 것 없다.

국민들은 이 후보에 대해 '포퓰리스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정부와 정당, 국회가 소득 하위 88% 국민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합의했음에도 경선 후보이자 경기도지사였던 그는 경기도민 100%에게 지급하겠다고 고집했다. 청년 기본소득, 세계여행비 지원 등도 포퓰리즘 정책이다. 포퓰리스트 이미지를 벗으려 노력해도 시원찮을 판에 주 4일제 발언, 재난지원금 100만 원, 국토보유세, 20대 소득세 면제 등으로 오히려 포퓰리스트 이미지를 키웠다.

이 후보는 '대장동 게이트'와 관련해 진솔한 사과는커녕, 윤석열 후보가 2011년 부산저축은행 수사 당시 대장동 관련 대출을 수사하지 않아 책임이 있다거나, 측근인 유동규가 토건 세력과 유착해 저지른 비리가 마치 딴 나라 이야기인 양 "토건 세력과 유착한 정치 세력의 부패 비리를 반드시 뿌리 뽑겠다"고 했다. 화천대유에 불로소득을 안겨 놓고는 "부동산 대개혁으로 부동산 불로소득을 없애겠다"고 했다. 포퓰리스트에 뻔뻔한 이미지까지 스스로 쌓는 것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