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면접시험 준비 이렇게…사회적 이슈, 교과서 내용과 연관지어 정리해둬야

출제 단골 문제 예시 답안 만들고 지원 대학 방식 맞춰 구술 연습을

지난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된 학생부종합전형 비대면 화상면접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된 학생부종합전형 비대면 화상면접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19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바꿨다. 대학입시에 미친 영향도 적지 않다. 수시모집 면접도 그 중 하나다. 코로나19 탓에 면접 방식이 달라진 대학들이 있다. 비대면 면접을 시행하면서 면접의 실질 비중을 줄이는 식이다. 면접 종류와 함께 준비 방법에 대해 살펴봤다.

면접 형식은 서류 기반 면접과 제시문 활용 면접 등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서류 기반 면접은 지원자가 제출한 학생부와 자기소개서 등을 바탕으로 복수의 면접위원이 지원자의 서류 내용 중 확인이 필요한 사항을 질문하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기본 소양에 대한 평가로 주로 인성, 가치관, 세계관 등 대학생으로서 갖춰야 할 자질을 평가한다.

제시문 활용 면접은 지원자들에게 제시문과 그에 따른 문항이 제공되고 학생들은 일정한 시간 동안 답변을 준비한다. 모집단위별 안내된 제시문과 문항을 활용해 지원자의 전공 적성과 학업 능력을 평가하는 면접이다. 고교 과정에서 학업 내용을 바탕으로 전공과 관련해 묻는 것이 보통이다.

면접을 대비하려면 일단 지망 대학의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 출제 방향이나 면접 진행 방식, 기출 문제 등을 꼼꼼히 읽고 면접 구술고사의 출제 경향과 특징을 파악해야 한다.

이 때 면접의 유형, 단골 질문, 영어 제시문 출제 여부, 답변 준비 시간, 지망 대학의 교육 방침, 해당 학과의 설명이나 교과 과정 등을 점검해야 한다. 자연계열 경우 수학과 과학 교과 지식의 측정 정도도 확인해두는 게 좋다.

고등학교의 교과 과정 중 지망 학과와 관련된 부분을 기본 개념과 원리 중심으로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인문계열은 윤리,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의 교과서 내용을 정리해두고 자연계열은 수학과 과학 교과 내용 중에서 자신의 전공 분야와 관련된 것을 체계적으로 훑어볼 수 있도록 한다.

영역별 시사 쟁점은 기본 소양평가와 전공 적성평가 문제에 모두 제재로 출제된다. 사회적 관심사가 됐던 시사 현안에 대해 자신의 관점과 견해를 윤리나 사회 문화, 정치, 역사 등의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과 관련지어 정리해둬야 한다. 시사 문제의 경우는 구체적인 지식에 관한 내용보다는 그에 대해 자신의 관점과 입장을 어떻게 정리해 답변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출제 빈도가 높은 단골 문제와 예상 문제에 대한 예시 답안을 만들어보고 지망 대학의 면접 방식에 맞춰 구술해 보는 실전 연습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어색한 말투나 잘못된 언어 습관을 발견하여 고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감 있고 자연스러운 태도로 자기 관점과 견해를 조리 있게 설명하고 설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도움말=송원학원 진학실

■일반적인 면접 구술 요령

① 솔직하고 자신감 있는 태도와 최선을 다하는 자세로 임한다.

② 질문의 의도와 핵심을 정확히 파악한다.

③ 자신의 수준에 맞춰 결론을 먼저 말하고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답변한다.

④ 보충 질의를 받았을 때는 이전의 대답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⑤ 화제에서 벗어나거나 오류를 범했을 경우 즉시 잘못을 시인하고 정정한다.

⑥ 잘 모르는 질문에 대해서도 아는 데까지 끝까지 성실하게 답한다.

⑦ 평이한 질문이라도 깊이 있게 답변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