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스토킹 살인 막지 못한 경찰 신변보호 위치확인시스템…'먹통'이었다

내부망과 연동안돼 오차 큰 기지국으로 위치 측정

경찰. 관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경찰. 관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전 남자친구의 스토킹으로 경찰의 신변보호를 받던 여성이 오피스텔에서 살해된 사건과 관련, 경찰이 도입한 신변보호 위치확인 시스템에 접속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경찰청 112상황실은 이달 19일 오전 11시 30분께 피해자가 스마트워치 'SOS' 버튼을 눌러 신고를 보내자 지난달 26일부터 시범 운영 중인 신변보호 위치확인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신변보호 대상자의 위치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은 기존 45초에서 3초로 줄어들고, 최대 2km인 대상자 위치 오차범위도 20∼50m로 줄어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사건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다.

서울경찰청에도 이 시스템이 도입되긴 했으나, 사건 발생 당일에는 무용지물이었다.

경찰이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경고메시지가 뜨는 등 내부망인 112시스템과 외부 통신망인 신변보호 위치확인시스템 간 연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피해자의 위치를 오차가 큰 기지국으로만 측정할 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경찰은 피해자가 살해당하기 직전인 결정적인 순간에 시범 운영 중인 시스템의 불안정으로 희생을 막을 수 없었다.

경찰은 시범운영 기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났다고 판단하고 시스템 간 보안프로그램을 개선하는 작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