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 "경산 코발트광산 유해발굴·현장보존 계획 별도로 세워 추진"

코발트광산 유족 "조속한 유해발굴", 박사리 유족 "명예회복과 국가 차원 보상" 건의

27일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 사건이 발생한 현장을 방문한 정근식 진실화해위 위원장이 광산 수평2굴을 직접 확인하고 있다. 경산시 제공
27일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 사건이 발생한 현장을 방문한 정근식 진실화해위 위원장이 광산 수평2굴을 직접 확인하고 있다. 경산시 제공

"경산 코발트광산 사건과 관련해 민간인 희생자 유해 발굴과 현장 보존 계획을 별도로 세워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적대 세력에 희생된 와촌 박사리사건 희생자의 아픔도 치유되고 관련 법률 재정을 통해 배·보상까지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 정근식 위원장은 27일 경북 경산지역 과거사 관련 현장인 경산 코발트광산과 박사리반공 희생자 추모공원을 방문해 이같이 밝혔다.

정 위원장 등은 이날 오전 경산 코발트광산 희생자 위령탑에서 헌화와 분향을 하며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유해가 묻혀 있는 수평2굴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유족회원들과 만나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이 27일 오전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에서 헌화 묵념을 하고 있다. 경산시 제공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이 27일 오전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에서 헌화 묵념을 하고 있다. 경산시 제공

이날 (사)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나정태 회장을 비롯한 유족들은 "1기 진실화해위가 경산코발트광산에서 2007년부터 3년에 걸쳐 총 422구의 유해와 유품 596점을 발굴 수습했으나 아직도 폐광산에 남은 유해가 3천여 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속한 추가 유해 발굴이 내년부터 시작되길 바란다"고 했다.

정규진 경산시 문화복지국장이 경산코발트 광산 민간인 희생 사건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경산시 제공
정규진 경산시 문화복지국장이 경산코발트 광산 민간인 희생 사건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경산시 제공

이에 정근식 위원장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의 최대 현장인 경산 코발트광산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니 가슴이 아프고 유족들의 고통에 공감한다"라며 "2기 진실화해위가 전국의 과거사 정리 관련 유해 매장지를 조사한 결과 전국의 304개소 중에 이미 확인 된 곳을 제외하고 내년 8월까지 종합적인 계획을 세워 발굴 계획 등을 세울 예정"이라고 했다.

특히 정 위원장은 "경산 코발트광산은 유해가 묻혀 있는 것이 확실하고 희생자도 많은 만큼 유해 발굴과 발굴 이후 유해 처리와 보관 및 안치 문제, 현장 보존 등과 관련한 계획을 별도로 세워 추진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오후에는 와촌면 박사리사건 추모공원을 찾아 헌화한 후 "진실화해위를 대표해서 너무 늦게 여기를 찾았고, 유족들에게 늦게 위로를 드려 죄송스럽다"면서 "박사리 사건과 관련해 얼마전 신청한 진실규명이 빠른 시일내 결정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이 27일 경산 와촌면 박사리 반공희생자 추모공원에서 헌화를 하고 있다. 경산시 제공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이 27일 경산 와촌면 박사리 반공희생자 추모공원에서 헌화를 하고 있다. 경산시 제공

이 자리에서 박사리 반공희생자 유족회 윤성해 회장 등은 "박사리사건은 국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국가가 경계소홀로 빚어진 참혹한 사건이다. 모든 희생자들에게 진실규명 결정이 하루빨리 내려지고, 공비나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분들의 명예회복과 국가 차원의 배·보상이 이루어길 바란다"고 건의했다.

정근식 진실화해위 위원장이 경산 와촌면 박사리 반공희생자 유족회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경산시 제공
정근식 진실화해위 위원장이 경산 와촌면 박사리 반공희생자 유족회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경산시 제공

정 위원장은 "2기 진실화해위에서는 적대 세력에 의해 희생된 분들의 아픔도 치유돼야 하고 배·보상 대상이 돼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을 개정하거나 별도의 배·보상법을 제정하되 박사리같은 아픔을 갖고 있는 분들도 충분히 치유되고 배·보상이 돼야 한다는 내용으로 저희들이 권고를 하거나 정부와 상의를 하려고 한다. 적어도 내년에는 해결의 실마리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1기 진실화해위 때 진실규명을 받은 사람들 중에서 군경에 의해서 희생된 분들은 상당수가 배·보상 소송에서 승소를 해서 보상을 받았다. 하지만 그 당시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건 관련 소송에서는 한국 정부가 배·보상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없다고 판단해 소송을 기각했다.

경산 코발트광산 사건은 한국전쟁 때인 1950년 7~8월 경산, 청도, 대구, 영동 등지에서 끌려온 국민보도연맹원 및 요시찰 대상자들과 대구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재소자 중 상당수가 군경에 의해 경산 코발트광산 등지에서 민간인이 희생(1기 진화위 보고서에는 1천800여명, 유족회에서는 3천500여명 추정)된 사건이다.

경산 와촌면 박사리 사건은 한국전쟁 직전인 1949년 11월 29일 밤 팔공산에 숨어 있던 빨치산이 박사리를 습격해 주민 38명이 사망하고 45명이 부상을 입고 108채의 가옥이 불탔다. 이 사건과 관련해 2009년 1건이 진실규명 결정이 났고 지난 17일 총 43건이 진실화해위에 진실규명을 신청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