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비호감 대선'으로 불리는 내년 제20대 대선이 정확히 10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비호감을 털어낸 이미지 쇄신을 바탕으로 2030세대 및 중도층에 소구력을 갖춘 후보가 최종 대권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윤석열(국민의힘)·심상정(정의당)·안철수(국민의당) 등 원내 대선주자 4인방은 29일을 기점으로 장장 100일간의 대선 레이스에 돌입한다.
집권여당과 제1야당 대선주자인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는 각각 정권재창출론과 정권교체론의 기치를 들고 접전을 펼치고 있지만, 현재까진 컨벤션 효과에 힘입어 윤 후보가 다소 앞서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하지만 남은 100일 동안 판세가 얼마든지 뒤집힐 수 있다. 이번 대선은 양강들이 벌이는 사상 초유의 '비호감 대선'인 탓이다.
현재 이 후보와 윤 후보는 각각 대장동 의혹과 고발사주 의혹으로 검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서처의 수사선상에 올라있다. 일가와 관련해선 이 후보는 조카 살인사건 변호 논란 및 친형 정신병원 강제입원 의혹, 윤 후보는 부인 주가조작 의혹 및 장모 편법 증여 의혹 등이 리스크로 부각 중이다.
정치권에선 이 같은 비호감 대선은 막판까지 표심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고 분석한다. 보수·진보 각 진영의 핵심 지지층을 제외한 부동층 및 미온적 지지층이 상당히 늘어나기 때문이다.
여야 대선주자들은 남은 100일간 비호감 이미지를 벗어던지는 한편, 이번 대선의 스윙보터이자 캐스팅보터로 꼽히는 2030세대 및 중도층 표심 구애에 적극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이 후보가 광주 선대위 공동위원장에 만 18세 고교생을 발탁하고, 같은 날 윤 후보는 '내일을 생각하는 청년위원회' 위원장을 직접 맡은 것은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다만 현재 양강 후보들에 대한 호감 여부가 결국 정권교체론에 대한 동의 여부로 흡수돼 큰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채장수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비호감이라는 건 인물 중심의 평가인데 대선이 다가올수록 정권교체론과 정권재창출론에 대한 판단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후보 개인에 대한 평가는 이 과정에서 흡수되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