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소비자물가가 10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7%를 기록한 가운데 경북 상승률(4.1%)은 4%를 넘어섰다.
특히 석유류 가격이 급등했고, 서민 생활과 직결되는 외식비와 채소값 등 찬거리 가격도 치솟았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7% 상승했다. 연중 최고치를 갈아 치우며 2011년 12월(4.2%) 이후 9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지난달 물가 상승을 이끈 것은 석유류 가격 급등이었다. 석유류는 35.5% 상승해 2008년 7월(35.5%) 이후 13년 4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외식 물가도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어올랐다. 지난달 외식 물가는 3.9% 상승해 2012년 1월(4.0%)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원재료비 인상과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수요 증가가 외식비 가격을 밀어 올렸다.
특히 지난달에는 이른 추위와 김장철 수요가 맞물리며 오이(99.0%) 가격이 1년 전의 2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뛰어올랐고, 상추(72.0%) 가격도 급등했다.
돼지고기(14.0%), 국산쇠고기(9.2%), 수입쇠고기(24.6%) 가격이 일제히 오른 가운데 계란(32.7%)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며 지난달 축산물 가격은 15.0% 상승했다.
같은 날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경북 소비자물가지수도 1년 전 대비 대구 3.7%, 경북 4.1% 각각 올랐다. 역시 지난 2011년 12월(4.3%) 이후 9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구 소비자물가는 4월(2.5%), 5월(2.9%), 6월(2.6%), 7월(2.8%), 8월(2.9%), 9월(2.5%) 등 6개월 연속으로 2%대 상승률을 보이다가 10월부터 두 달 연속 3%를 넘어섰다.
다음달에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제유가 상승세가 이어져 석유제품 가격이 진정되지 않을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또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에 따른 소비심리 활성화로 개인서비스 영역의 물가도 오를 수 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2월 물가도 상당폭의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반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월에는 국제유가 상승세·유류세 인하 효과 등으로 상승 폭이 둔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래픽] 연합뉴스](https://www.imaeil.com/photos/2021/12/02/2021120216023581710_l.jpg)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