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이 1684년 제작 이후 337년 만에 최초로 산문(山門)을 나섰다.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7일부터 내년 3월 6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는 '조선의 승려 장인 특별전'에 선보인다.
1989년에 보물로 지정된 이 법상은 보통 불상 뒤에 따로 불화로 표현하던 부분을 한데 결합해 세세하게 깎아 만든 작품으로 불교에서 구현한 이상향의 세계가 표현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무로 만든 삼존불(본존불 높이 90㎝) 뒤로 아미타여래, 보살, 제자, 사천왕이 어우러져 있고 극락정토의 광경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장대한 목각상(높이 265㎝)은 특유의 금빛을 발한다.
불상의 제작자는 17세기 중엽부터 18세기 초까지 활동한 조각승 단응(端應) 외 8명이 1684년(숙종 10년)에 함께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외에도 이번 특별전에는 국보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와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비롯해 보물 13건, 시도유형문화재 5건 등 145건이 오른다.
조선 후기의 조각승 1천여 명과 화승(畵僧) 2천400여 명 중 이 특별전에 오른 작품을 만든 승려 장인만 모두 366명이다.
전시를 기획한 유수란 학예연구사는 "관람객들이 불화나 불상 너머에 있는 승려 장인들과 만나서 불교미술을 현대적 맥락에서 이해하길 바란다"며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불상의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을 거쳐 새로운 승려장인들을 발견하는 성과도 거뒀다"고 밝혔다.
한편 예천 용문사에는 840년 넘게 한자리를 지킨 불교 공예품 '윤장대'(輪藏臺)와 윤장대가 들어있는 건물인 대장전'(大藏殿·제328호 국보)와 용문사 팔상도(보물 제1330호 )등 많은 불교 문화재 보존돼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