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8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고 칭찬했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국 정부의 입장에 대한 평론을 요구받고 이같이 말한 뒤 "한국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국이자 2024년 강원도 청소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것이다. 중한 양국은 줄곧 상대국이 개최하는 올림픽을 지지해 왔다"고 덧붙였다. 이어 "(상호 지지는) 양국 우호 협력 관계와 올림픽 한가족다운 풍모의 표현"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한 데 대해 7일 정례브리핑에서 "2018년 평창, 2021년 도쿄, 2022년 베이징으로 이어지는 이번 올림픽이 동북아와 세계 평화와 번영 및 남북관계에 기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다른 나라 정부의 외교적 결정에 대해서 우리 외교부가 언급할 사항은 없다. 다만 우리 정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지해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 공식화에도 정부의 종전 입장을 재차 확인한 것이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경제 냉전을 벌이고 있는 호주가 미국에 이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자 중국 당국은 맹비난을 쏟아냈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중국은 호주 정부 당국자를 초청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이) 오든 말든 신경 쓸 사람은 없다"며 "호주 정치인들이 정치적 사리사욕을 위해 쇼를 벌이는 것은 베이징올림픽의 성공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교적 보이콧은) 호주 정부가 시시비비를 가리지 못할 정도로 개별 국가를 맹목적으로 추종하고 있음을 드러낸다"면서 "중국은 호주의 행동에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하고, 이미 호주에 엄중한 교섭을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왕 대변인은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에 보복을 가하겠다고 밝힌 것처럼 호주에도 보복을 가할 것이냐는 질문에 "모두 지켜봐 달라"고 답했다.
앞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8일(현지시간) 중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 지역 인권 탄압과 호주에 대한 무역 보복 등 호주가 제기한 여러 문제에 응답하려는 시도를 한 적이 없다면서 베이징 올림픽에 호주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