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찰의 특진 인사에 대해 젊은 남성 경찰관들을 중심으로 여경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젊은 경찰관 비중이 높은 순경~경장 계급 특진에서 여경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이유에서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는 8일 경찰관으로 추정되는 한 직원이 '서울청 특진 여경 비율 50%'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직원은 "여경을 비난할 목적은 아니지만 조직의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적었다. 해당 글에는 "좀 심하다. 승진도 여성할당제" "여성가족부 표창 상신하자"는 등 비판적 댓글이 다수 달렸다.
실제 이번 서울경찰청 전체 특진 중 여경 비율이 50%에 달하는 것은 아니다. 서울청에 따르면 최근 총 188명의 특진이 결정됐다. 계급별로는 순경~경장 97명, 경장~경사 61명, 경사~경위 13명, 경위~경감 17명으로, 이 가운데 여성은 39명(20.7%)이었다. 여경 비율이 전체 경찰관의 15%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크게 높은 수준은 아니다. 여경 중 특진자는 경위~경감 1명, 경사~경위 3명, 경장~경사 4명이었다.
다만 젊은 경찰관들이 많은 순경~경장 특진에서 97명 중 31명(31.5%)을 여성이 차지해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았다. 특히 직원 다수가 근무하는 경찰서 소속 특진자로 한정하면 69명 가운데 30명(43.5%)이 여성이었다. 이 같은 상황에 젊은 남경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한 30대 경찰관은 "특진에 여성 할당이 없다고 하지만, 결과를 보면 여경 비율이 높지 않나"라며 "성별 문제가 아닌 형평성 문제"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