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440억 'RIS 예산' 기회 잡은 대구경북

지자체-대학-혁신기관, 플랫폼 구축해 협업 과제 수행…정부안, 당초보다 400억원 증액
복수형 준비 중인 대구경북, 예산 증액으로 공모 선정 가능성 ↑

RIS 예산안 변경 내용. 대구시 제공
RIS 예산안 변경 내용.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내년 국비 확보 최우선으로 총력을 기울인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예산이 증액되면서 공모 준비에 청신호가 켜졌다.

9일 대구시에 따르면 내년 교육부 RIS 예산은 당초 정부안 2천40억원에서 2천440억원으로 400억원 증액됐다.

RIS는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목표로 지난해부터 교육부가 추진 중인 사업이다. 지자체와 대학, 다양한 혁신기관이 플랫폼(단수형, 복수형)을 구축해 지역의 핵심분야를 선정한다. 지역대학은 이 핵심분야와 연계해 교육체계를 개편하며 협업 과제를 수행한다.

공모에 선정되면 최대 5년간 국비 2천억원(복수형 400억원 기준)이 지원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현재 8개 지자체가 4개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내년 현 정부 마지막 공모에서는 대구경북을 비롯한 강원, 전북, 부산, 제주 등 미선정 지자체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그런데 당초 정부안에 반영된 신규 플랫폼 예산은 단수형 플랫폼 예산 규모(300억원)로, 복수형 공모를 준비 중인 대구경북에는 불리한 편성이었다.

이에 대구시는 복수형 플랫폼 예산을 확보하려 소관 상임위와 예결위 소속 국회의원들을 끈질기게 설득했다. 그 결과 신규 플랫폼 1개가 추가돼 400억원 증액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대구시는 내년 공모 성공을 위해 지난 10월 킥오프 회의를 시작으로, 지난달 사업추진 기획단을 발족해 공모 탈락 원인 분석, 보완대책 마련 등 사전 준비를 진행 중이었다. 이번 복수형 사업비 확보로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 구축에 한 걸음 가까워지게 됐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청년 인구의 수도권 유출로 중앙과 지방 간 격차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지역사회 발전을 견인하는 RIS는 지역의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될 중요한 사업이다"며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이 지방 위기 극복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내년 공모를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