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 대통령, 호주로 출국… 내일 한-호주 정상회담

12년 만의 국빈방문
공급망 안정화 협력 등 논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3박4일간의 호주 국빈 방문을 위해 12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3박4일간의 호주 국빈 방문을 위해 12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부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3박4일 간의 호주 국빈방문을 위해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했다.

한국 정상이 호주를 국빈 방문하는 것은 2009년 이후 12년 만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호주가 초청한 최초의 외국 정상이다.

이날 오전 출국장에는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함께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이 나와 문 대통령 부부를 환송했다.

문 대통령은 13일 수도 캔버라에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정상회담과 공동 기자회견 등의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이후 전쟁기념관을 찾아 한국전쟁참전 기념비에 헌화하고 한국전 참전 용사들과의 만찬을 갖는다.

14일에는 시드니로 이동해 호주의 야당인 노동당 앤서니 알바네이지 대표를 면담하고 호주 경제인들을 만나 핵심 광물 공급망의 안정적 구축을 위한 협력을 주제로 간담회를 한다.

문 대통령은 오는 15일 귀국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 측은 "최근 요소수 사태에서 보듯 핵심 품목들의 경우 도입선을 다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국빈방문은 원자재와 핵심광물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호주는 희토류도 풍부하고 리튬이나 니켈 등 천연자원도 많이 생산되고 있어 관련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여지가 많다는 것이 청와대 설명이다.

아울러 외교가에서는 호주가 중국과 외교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방문이 이뤄진다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

최근 미중갈등이 격화하면서 미국과 호주 등 이른바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 국가들은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상황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자칫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에 대해 중국이 불편해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상당히 엄중한데다 호주에서도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이 확산하고 있어 순방 시점이 부적절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호주는 우리 대표단의 안전 확보를 위해 방역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해왔다"며 "우리나라 역시 수행원 규모를 축소하고 전원 백신을 접종했다. 대규모 행사를 지양하고 대표단의 이동을 제한하며 일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