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내 부스터샷 접종자, 오미크론 돌파감염…"추가접종 여전히 중요"

오미크론 감염자 중 4명은 추가접종자…2명은 얀센 기본접종 뒤 부스터샷
영국에선 추가접종이 오미크론 감염 71% 예방…전문가 "위중증 예방 확실"

14일 오전 전남 함평엑스포공원 주차장에 마련된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주민들이 줄 서 있다.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지난 12일 첫 확인된 이후 함평읍은 주민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중이다. 연합뉴스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이후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면서 14일 국내 코로나19 하루 사망자가 100명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치솟았고, 위중증 환자도 처음 900명을 넘어섰다. 여기에 국내 우세종인 델타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큰 것으로 추정되는 '오미크론 변이' 감염 사례도 계속 늘고 있어 방역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사진은 이날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서 방역복과 페이스실드를 착용한 어린이. 연합뉴스

국내에서 부스터샷(추가접종)을 맞고도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사례가 처음 나왔다. 방역 당국과 전문가들은 중증 예방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여전히 추가접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까지 확인된 국내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 178명 중 추가접종을 한 뒤 감염된 사례가 4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모두 경미한 증상을 앓고 있다.

4명 중 2명은 30대 내국인이다. 모두 얀센 코로나19 백신으로 기본접종한 뒤 최근 추가접종했다.

그 중 지난달 19일 얀센으로 추가접종한 1명은 지난 3일 미국에서 입국해 7일 경남에서 확진됐다. 또 다른 1명은 지난달 13일 모더나 백신으로 추가접종하고 이달 12일 영국에서 입국해 14일 서울에서 확진됐다.

2차례 맞아야 기본접종이 완료되는 다른 코로나19 백신과 달리 얀센 백신은 1차 접종만으로 기본접종이 완료되므로 2번째 접종이 추가접종이 된다.

다른 2명은 이란발(發) 입국자-전북 관련 사례로 모두 내국인이고 전남에서 신고됐다.

이 2명 중 40대 1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기본접종을 마친 뒤 지난달 5일 화이자 백신으로 추가접종하고 이달 10일 확진됐다. 다른 20대 1명은 화이자 백신으로 기본접종하고 이달 9일 화이자로 추가접종한 지 3일만인 12일 확진됐다.

방역당국은 추가접종이 오미크론 변이 감염을 막을 최선의 대책이라 보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에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백신 예방 효과가 다소 낮게 보고되고 있다.

영국 정부가 발표한 사례를 보면 추가접종은 델타 변이에는 90% 이상 효과를 발휘한 반면 오미크론 변이에는 70% 이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 종류별로 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2차 접종까지 마치고 화이자 백신을 3차 접종한 사람은 델타형 변이 감염에 94%, 오미크론 변이 감염에 71% 정도 효과가 있었다. 또 ▷화이자 백신으로 3차례 모두 접종한 사람은 델타형 변이에 93%, 오미크론 변이에 76% 예방 효과가 있었다.

14일 오전 전남 함평엑스포공원 주차장에 마련된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주민들이 줄 서 있다.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지난 12일 첫 확인된 이후 함평읍은 주민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중이다. 연합뉴스

방역 전문가들은 부스터샷을 접종한 뒤 오미크론 변이에 돌파감염되는 사례가 나오더라도 여전히 추가접종의 중증 예방 효과가 크다고 강조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추가접종 후 오미크론 돌파감염 사례에 대해 "(수가) 많지 않고, 감염된다 하더라도 위중증으로 악화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확실하다. 훨씬 경미하게 앓는다"며 "외국에서도 같은 사례가 많지만, 추가접종 전략을 바꾸지 않고 현재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방역당국에 따르면 60세 이상에서 추가접종 후 확진군은 기본접종 후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2%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오미크론을 주요 변이로 지정했다. 전파력은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보다 더 세다고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오미크론 변이 확정 사례가 총 178명 나왔다.

일각에선 오미크론 감염 자체의 위중증 위험이 낮을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방역당국은 그 위중증도에 대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