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을 실현해 이산화탄소가 줄더라도 일부 지역의 기후변화는 막을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포스텍(포항공대) 환경공학과 국종성 교수, 박사과정 오지훈 씨 연구팀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늘렸다가 감소시키는 지구시스템모형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를 통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시물레이션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늘어날 땐 거의 변하지 않았던 열대수렴대 위치가 농도 감소 시 따뜻한 남반구로 급격히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전 지구 강수량의 32%를 차지하는 열대수렴대의 이동은 열대지방과 아열대지방의 강수량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자 이상 기후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대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줄이면 지구의 평균 온도와 강수량은 서서히 예전 수준으로 회복된다.
하지만 연구팀은 열대수렴대가 남하하면 슈퍼 엘니뇨가 지속되는 이상기후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엘니뇨는 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가 주변보다 1~3℃ 정도 높아져 세계 곳곳에서 가뭄·폭풍·홍수·가뭄 등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이 진행한 시뮬레이션에서 늘어난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여 원래의 값으로 되돌려도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사헬 지대, 지중해 주변 등은 연평균 강수량이 현재보다 약 20% 줄어들었다.
반면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강수량은 약 15% 늘어 더 비번한 홍수위험을 예고했다.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도 여름철 강수량이 늘어 장마철에 더 많은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국종성 교수는 "탄소중립 또는 탄소저감 등의 기후변화 완화 정책을 수립할 때 지구의 평균 온도와 강수량만 고려하면 복잡한 기후시스템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열대수렴대의 남하와 같은 지역적 변화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