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정치 흐름도 중요하지만 실무 부처, 연구 기관, 학자 등이 공감할 공약을 개발, 반영을 건의하면 누가 당선되더라도 거부할 수 없을 것입니다."
여야 후보 간 대선 정국이 가족 검증 등으로 치열한 양상을 보이지만 정작 대구경북(TK) 지역의 미래 발전을 위한 공약 논의는 주요 이슈로 부각되지 못한 채 소외되고 있다.
과거 대선과 비교해 캠프 주요 구성원 가운데 TK 인사들이 요직에 포진되지 못했다는 평가도 나와 지역민의 염원이 차기 정부에 제대로 전달될 수 있겠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이와 관련, 지방행정 전문가인 김현기 대구가톨릭대 기획협력부총장은 "대구경북이 최근 발굴한 공약 사업들이 '누구라도 다음 정권을 잡으면 정부 정책으로 끌고 갈 아이템은 된다'"며 우선 후한 평가를 줬다.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제안, 지역 대학과의 협력 강화 등 구상들은 차기 정부의 방향성으로 삼기에 부족함이 없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정치적 상황은 소위 네거티브 중심으로 흐르고 있고 모든 언론이 이에 집중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해가 바뀌고 선거가 임박하면 각 후보가 제시하는 정책에 이목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김 부총장은 "여야 선거 캠프에서 아직 전면화하고 있지 않지만 정책적 연구를 상당히 하고 있고 좋은 지역 공약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알고 있다"면서 "대구경북은 국회뿐만 아니라 실제 공약을 시행할 관계 기관부터 장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정부 부처는 물론 학계, 연구기관, 지역대학 등과 공약 관련 공감대를 형성하고 실제 협의체를 구성, 네트워크를 만들어 각자 역할을 분담, 공약 건의에 나서야 실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제시했다.
특히 어느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선택하지 않을 수 없는 지역 공약을 제안하고 실현 가능성을 높여 '디테일'을 살려야 한다는 설명도 가미했다.
김현기 부총장은 "중앙 정치 여건은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지만 실제 정책을 담당하는 실무 현장은 차기 정부의 사업을 두고 작업을 이어가고 있을 것"이라면서 "특히 내년 초부터 2023년 국비 예산 편성 작업이 시작되는 만큼 단체장을 중심으로 똘똘 뭉쳐 돌파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시도지사 협의회 등 자치단체 간 연대 등으로 공약을 탄탄히 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라며 "정책 싸움 국면이 오면 대구경북은 성과를 내기 위한 '원팀'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