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뒤숭숭한 당 뒤로 하고 호남 달려간 윤석열, "가난하고 못 배우면 자유가 뭔지 몰라"

"자유 본질, 일정 수준 교육과 기본적 경제 역량 있어야 존재"
1박 2일 호남 일정 첫 날부터 '전두환 발언' 탓 거센 반발 직면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전북 전주시 덕진구 전북대학교 이세종 열사 표지석 앞에서 헌화한 뒤 묵념하고 있다. 이세종 열사는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 세력의 총과 곤봉에 쓰러진 첫 번째 희생자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전북 전주시 덕진구 전북대학교 이세종 열사 표지석 앞에서 헌화한 뒤 묵념하고 있다. 이세종 열사는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 세력의 총과 곤봉에 쓰러진 첫 번째 희생자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2일 전북을 찾아 "극빈한 생활을 하고 배운 것이 없는 사람은 자유가 뭔지도 모를 뿐 아니라, 자유가 왜 필요한 지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1박 2일 일정으로 호남을 찾은 윤 후보는 이날 전북대를 찾아 대학생들과 타운홀미팅을 갖고 'n번방 방지법'과 차별금지법에 대한 생각을 묻는 대학생의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윤 후보는 "자유의 본질은 일정 수준 교육과 기본적 경제 역량이 있어야 존재하는 것"이라며 "나 혼자 자유를 지킬 수는 없다. 공동체에서 어려운 사람들을 함께 돕고, 상당한 정도의 세금을 걷어 어려운 사람들과 함께 나눠 그분들의 교육과 경제의 기초를 만들어주는 것이 자유의 필수적 조건"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항쟁"이라고 규정하며, "저는 자유민주주의가 아닌 민주주의를 '민주주의'라고 부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윤 후보는 "유럽 같은 사회적 민주주의도 정확한 자유민주주의다. 개인이 존중되고, 국가가 개인의 자유와 창의를 제한하는 데 한계를 주고 국가보다 개인이 먼저이기 때문이다. 개인의 가치가 지구보다 무겁다는 자연법 정신에 입각하지 않은 건 민주주의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비슷한 맥락에서 윤 후보는 'n번방 방지법'에 관해 "법률을 폐기하거나 근본적으로 잘못됐다는 건 아니고, 텔레그램 같이 외부 서버가 있는 곳은 규제가 잘 안되고 성 착취물 스크리닝도 기술적 문제가 있어 통신 비밀이 좀 더 보장되도록 연구해 손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차별금지법에 관해선 "동성혼의 법적 효력을 이성 간 혼인과 똑같이 인정할 지의 문제는 당사자 뿐 아니라 다른 가족과 주변에 미치는 영향이 많다"며 "개인의 성적 지향과 결정은 차별할 수 없는 문제지만, 다른 사람에게 법률적, 경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고 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전북 전주시 덕진구 전북대학교 이세종 열사 추모비 앞에서 헌화하려다 이를 반대하는 시민단체의 항의를 받고 발걸음을 돌리고 있다. 윤 후보는 결국 추모비 대신 이세종 열사 표지석에 헌화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전북 전주시 덕진구 전북대학교 이세종 열사 추모비 앞에서 헌화하려다 이를 반대하는 시민단체의 항의를 받고 발걸음을 돌리고 있다. 윤 후보는 결국 추모비 대신 이세종 열사 표지석에 헌화했다. 연합뉴스

한편, 이날 윤 후보는 이른바 '전두환 정치 잘해' 발언을 문제 삼은 전북대 민주동문회 등의 거센 반발에 직면해 첫 호남 일정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윤 후보는 전북대에 도착해 가장 먼저 민주화운동 첫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의 추모비를 찾았는데, 전북 5·18 구속부상자회와 전북대 민주동문회 등의 반발에 부닥쳤다. 이들은 '전두환 찬양하는 윤석열이 이세종 열사 참배 웬 말이냐'는 등의 문구가 담긴 손 팻말을 들고 윤 후보의 입장을 막았다.

거센 반발을 뚫고 추모비까지 간 윤 후보는 흰 국화를 추모비 옆에 놓고 짧은 묵념만 한 뒤 떠났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