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코로나 치명률 4.9%→0.9% 안정세…안심은 일러

11월 첫 주 4.9%, 12월 셋째주 0.94%…두 달여 동안 꾸준히 감소
취약층 '무더기 감염' 많아…병원 등 핀셋 방역 나서야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를 보인 26일 서울의 한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천419명 늘어 누적 확진자 수가 60만7천463명이라고 밝혔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1천81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1천105명보다는 24명 줄었지만, 지난 21일부터 엿새 연속 1천명 이상을 유지했다. 연합뉴스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를 보인 26일 서울의 한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천419명 늘어 누적 확진자 수가 60만7천463명이라고 밝혔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1천81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1천105명보다는 24명 줄었지만, 지난 21일부터 엿새 연속 1천명 이상을 유지했다. 연합뉴스

대구의 코로나19 치명률(특정 질환에 의한 사망자수를 그 질환의 환자수로 나눈 것)이 최근 안정세로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구의 코로나 치명률은 여전히 전국 평균의 두 배 가까이 높아 이에 대비한 핀셋식 보건의료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대구의 주간 확진자 수 대비 사망자 수를 분석해보면 11월 초 치솟았던 치명률이 갈수록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이후 주간 단위로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를 분석해보면 10월 마지막 주(22~31일) 치명률은 2.12%에 그쳤다가 11월 첫째 주(1~7일) 4.94%로 뛰어올랐다. 이후 ▷11월 2째 주(18~14일) 2.34% ▷11월 3째 주(15~21일) 3.22%를 기록하다 11월 4째 주(22~30일)에는 1.87%로 안정세로 접어들었다.

이달 들어서도 안정세가 이어져 ▷12월 1째주(1~7일) 1.41% ▷12월 2째주(8~14일) 1.07% ▷12월 3째주(15~21일) 0.94%로 감소세를 이어왔다.

하지만 전국 상황과 비교하면 여전히 안심 못하는 수치다. 대구의 코로나 사망자 수는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1일까지 84명으로 같은 기간 확진자 4천716명과 비교했을 때 치명률은 1.78%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국의 확진자 수 대비 사망자 비율 0.95%와 비교하면 대구의 치명률은 전국보다 0.83%포인트(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드 코로나 시작 이전과 비교했을 때 위드 코로나 이후 대구의 치명률이 두드러졌다. 올해 초부터 지난 10월 31일까지 치명률은 0.64%로 전국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위드코로나 시행 직후인 지난달부터 전국과 격차를 벌렸기 때문이다.

대구의 치명률이 전국보다 높은 이유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위드 코로나 직후 요양병원‧시설 집단감염으로 인해 고령층‧기저질환자 가운데 확진자가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장인 김신우 경북대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의 치명률을 결정짓는 데는 나이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그 다음이 기저질환의 중증도다. 암 말기 환자, 투석 환자, 면역 저하자와 폐‧간‧신장질환, 당뇨, 치매 등을 오랫동안 앓아온 환자들에게는 매우 위험하다"며 "접종 직후 항체가 활발히 형성돼 감염예방 효과를 받던 고연령층에서 최근 무더기 감염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령층과 기저질환자를 관리하는 게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을 떨어뜨리는 관건"이라고 말했다.

대구시도 요양병원 등이 바이러스 유입과 전파가 쉬운 약한 고리로 판단하고,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핀셋 방역에 나섰다.

대구에 있는 요양병원 73곳을 대상으로 병원별 방역 보조인력을 1명씩 배치해 시설 관리에 집중하고 이를 위한 별도 예산 4억3천800만원을 마련해 내년부터 투입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요양병원 입원 환자 대다수가 감염에 취약한 고령층으로 집단감염 가능성이 항상 존재해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방역관리가 필요하다"며 "코로나19 장기화와 재유행에 대비해 방역보조 인력을 지원해 시설 방역부담을 줄이고 병원 내 전파를 차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