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방역지원금 100만원...자영업자들 "임차료·인건비가 얼만데..."

자영업자들 "각 사업장 상황에 맞는 지원금 줘야"

썰렁한 대구 달서구의 한 식당 모습. 매일신문 DB
썰렁한 대구 달서구의 한 식당 모습. 매일신문 DB

정부가 자영업자에 대한 방역지원금 100만원을 27일부터 지급하기 시작했지만, 같은 금액을 일괄 지원하는 방식과 지급 기준을 둘러싸고 자영업자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상권에서 가게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방역지원금 100만원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대구 동성로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사장 A씨는 "유동인구가 많아 직원도 홀과 서빙으로 모두 3명을 두고 있다. 임차료도 한달에 300~400만원 가까이 나간다"고 말했다.

그는 "위드 코로나 당시에 하루 매출이 100만원 넘었는데 2~3주 장사를 제대로 못하는 대가로 100만원 받는 게 무슨 소용이느냐"며 "거리두기가 이번이 끝일 것 같지도 않다"고 했다.

선술집을 운영하는 사장 B씨는 "저녁 장사가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가게에 똑 같은 100만원을 준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B씨는 "오후 5시부터 손님을 받는다. 업종 특성상 배달도 어려운데 3시간 장사하러 가게에 출근하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정부는 방역지원금 지급 첫날 28만9천654명에게 각 100만원씩 총 2천896억5천400만원을 지원했다. 지원 대상 소상공인 중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가 홀수인 약 35만명의 83%에 달하는 수준이다.

정부는 "희망회복자금(재난지원금)의 첫날 지원 대상 대비 지급률(71.4%)보다 높다"고 발표했지만, 지원금 대상이 아닌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지급 기준을 둘러싼 불만이 터져나왔다.

자영업자 커뮤니티인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영업 제한을 받는 업종이니 당연히 지급대상일 줄 알았는데 1차 신청 대상이 아니라는 안내를 받았다"는 글이 쏟아지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