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속보]'한국인 강제노역 광산' 또 세계유산 추진…외교부 日문화원장 초치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이 일본 문화심의회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추천 후보로 선정됐다고 교도통신이 2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문화심의회의 이런 결정에 따라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추천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할지 여부를 내년 2월 1일까지 검토할 예정이다. 사도 광산 유적 중 하나인 도유갱 내부의 모습. 연합뉴스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이 일본 문화심의회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추천 후보로 선정됐다고 교도통신이 2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문화심의회의 이런 결정에 따라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추천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할지 여부를 내년 2월 1일까지 검토할 예정이다. 사도 광산 유적 중 하나인 도유갱 내부의 모습. 연합뉴스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이었던 사도(佐渡)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본격 추진하면서 '군함도'(하시마·端島)의 세계유산 등재를 둘러싸고 불거졌던 한일 간 대결이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8일 일본 문화원장을 초치로 강력 항의하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전방위적 외교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앞서 일본 문화청 문화심의회는 이날 니가타(新潟)현에 있는 사도광산을 세계유산 등재 추천을 위한 후보로 선정했다. 일본 정부 차원에서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기 위한 수순에 사실상 돌입한 것이다. 내년 1월 내각 각의에서 정식 결정하면 2월 1일 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신청서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2023년 5월까지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하 이코모스)의 심사를 거쳐 같은 해 6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정식 결정될 전망이다.

사도광산은 지난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된 군함도 등 메이지 시대 근대산업시설과 마찬가지로 조선인들의 강제 노역이 이뤄진 곳이다.

에도(江戶)시대에는 금광으로 유명했지만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구리, 철, 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활용됐다. 전시 기간 중 1천200여 명의 조선인을 강제 동원한 것으로 파악된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일명 군함도인 하시마 탄광 등에서 한국인 강제노역 사실을 숨기는 일본의 역사 왜곡 행위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린 카드 뉴스. 카드 뉴스는 서 교수가 직접 군함도를 방문해 촬영한 사진을 활용해 한국어와 영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등 5개 국어로 제작됐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일명 군함도인 하시마 탄광 등에서 한국인 강제노역 사실을 숨기는 일본의 역사 왜곡 행위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린 카드 뉴스. 카드 뉴스는 서 교수가 직접 군함도를 방문해 촬영한 사진을 활용해 한국어와 영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등 5개 국어로 제작됐다. '일본은 군함도를 왜곡하지 말고 유네스코와의 약속을 지켜라' 등의 내용이 담겼다. 연합뉴스

정부는 일단 일본의 신청서 내용을 분석해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부적합한 이유와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릴 필요성 등을 유네스코와 이코모스 등에 설득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아울러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들을 상대로 사도광산 등재의 부적절성을 설득하는 외교 교섭도 전방위적으로 펼 계획이다.

특히 일본이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메이지 근대산업시설의 강제노역 역사를 알리기로 약속한 것조차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관계자는 "유네스코가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약속 이행을 강력하게 촉구한 마당에 비슷한 강제징용 역사가 있는 유산을 가져온다는 것은 유네스코 결정과 기구에 대한 도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에서는 이런 문제를 제기할 것이고 합리적인 생각을 가진 책임감 있는 회원국이라면 일본이 이런 유산을 가져온 것을 반드시 문제 삼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한·일이 모두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이었던 2015년과 달리 현재 일본은 위원국이고, 한국은 아니라는 점은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세계유산 등재를 심의해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는 21개 위원국이 모든 결정권을 가지며 비위원국은 발언권이 없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은 위원국이고 우린 아닌 것은 불리한 측면인 건 사실"이라면서도 "전문가 심의에서 여러 변수와 상황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우리도 2024년부터는 위원국 자격에 들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