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1월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3% 중반,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5%를 넘어서는 등 7년여만의 최고 수준으로 치닫았다. 코픽스, 은행채 등 지표금리가 오르고 가계대출 억제 기조 속에 은행들이 전반적으로 금리를 올린 영향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11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1%로 한 달 새 0.25%포인트(p) 올랐다. 2014년 7월(3.54%) 이후 7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신용대출 금리도 연 4.62%에서 5.16%로 0.54%p 뛰어올랐다. 2014년 9월(5.29%) 이후 최고 기록이고이다. 오름폭(0.54%p)은 2012년 9월(0.66%p) 이후 9년 2개월 만에 가장 컸다. 가계 신용대출 금리가 연 5%를 돌파한 것은 2014년 10월(5.08%) 이후 7년 1개월만이다.
전체 가계대출 금리도 연 3.61%로 10월(3.46%)보다 0.15%p 올랐다. 연 3.61%의 가계대출 금리는 2018년 12월(3.61%) 이후 최고점이다.
송재창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대출 금리 상승 배경에 대해 "코픽스와 은행채 등 지표금리가 오른데다 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가산금리를 높이는 등 금리를 올렸기 때문"이라며 "일반 신용대출 금리의 경우 대출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자 고신용자보다 중·저신용자 비중이 늘고, 중금리 대출 취급이 확대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예금은행의 11월 신규 취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17.7%로 10월(20.7%)보다 떨어졌다. 고정금리인 보금자리론 취급 감소, 변동금리와의 격차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업 대출 금리(연 3.12%)도 10월(2.94%)보다 0.18%p 높아졌다. 2020년 2월(3.19%) 이후 1년 9개월 만에 다시 3%대에 올라섰다. 대기업 대출 금리가 0.23%p(2.67→2.90%), 중소기업 대출 금리도 0.16%p(3.14→3.30%) 올랐다.
기업 대출과 가계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 평균은 10월(3.07%)보다 0.16%p 높은 3.23%로 나타났다.
예금금리도 다소 오르며 '예대마진'은 소폭 줄었다.
이번 조사에서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 평균도 연 1.29%에서 1.57%로 0.28%포인트 상승했다. 역시 시장금리 상승 등에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1.57%의 저축성 수신 금리는 2019년 12월(1.60%) 이후 1년 11개월만의 최고 수준이다.
예금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를 뜻하는 '예대마진'은 1.66%포인트로 10월(1.78%)보다 0.12%p 줄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