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택담보 3.5%·신용대출 5.1%…은행권 금리 7년 만에 최고치

가계대출 관리 위해 금리 높여…중금리 대출 취급 확대 영향도

주택담보대출자의 약 75%가 따르는 변동금리가 불과 최근 20일새 0.3%포인트(p) 가까이 뛰었다.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내년 1월이나 2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추가 인상하면 대출금리가 더 빠르게 올라 5%대 중반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20일 오후 서울시내 한 은행. 사진 속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은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현재 상황과는 다르다. 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자의 약 75%가 따르는 변동금리가 불과 최근 20일새 0.3%포인트(p) 가까이 뛰었다.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내년 1월이나 2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추가 인상하면 대출금리가 더 빠르게 올라 5%대 중반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20일 오후 서울시내 한 은행. 사진 속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은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현재 상황과는 다르다. 연합뉴스

2021년 11월 예금은행 가중평균 금리. 한국은행 제공

지난 11월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3% 중반,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5%를 넘어서는 등 7년여만의 최고 수준으로 치닫았다. 코픽스, 은행채 등 지표금리가 오르고 가계대출 억제 기조 속에 은행들이 전반적으로 금리를 올린 영향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11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1%로 한 달 새 0.25%포인트(p) 올랐다. 2014년 7월(3.54%) 이후 7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신용대출 금리도 연 4.62%에서 5.16%로 0.54%p 뛰어올랐다. 2014년 9월(5.29%) 이후 최고 기록이고이다. 오름폭(0.54%p)은 2012년 9월(0.66%p) 이후 9년 2개월 만에 가장 컸다. 가계 신용대출 금리가 연 5%를 돌파한 것은 2014년 10월(5.08%) 이후 7년 1개월만이다.

전체 가계대출 금리도 연 3.61%로 10월(3.46%)보다 0.15%p 올랐다. 연 3.61%의 가계대출 금리는 2018년 12월(3.61%) 이후 최고점이다.

송재창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대출 금리 상승 배경에 대해 "코픽스와 은행채 등 지표금리가 오른데다 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가산금리를 높이는 등 금리를 올렸기 때문"이라며 "일반 신용대출 금리의 경우 대출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자 고신용자보다 중·저신용자 비중이 늘고, 중금리 대출 취급이 확대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예금은행의 11월 신규 취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17.7%로 10월(20.7%)보다 떨어졌다. 고정금리인 보금자리론 취급 감소, 변동금리와의 격차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업 대출 금리(연 3.12%)도 10월(2.94%)보다 0.18%p 높아졌다. 2020년 2월(3.19%) 이후 1년 9개월 만에 다시 3%대에 올라섰다. 대기업 대출 금리가 0.23%p(2.67→2.90%), 중소기업 대출 금리도 0.16%p(3.14→3.30%) 올랐다.

기업 대출과 가계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 평균은 10월(3.07%)보다 0.16%p 높은 3.23%로 나타났다.

예금금리도 다소 오르며 '예대마진'은 소폭 줄었다.

이번 조사에서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 평균도 연 1.29%에서 1.57%로 0.28%포인트 상승했다. 역시 시장금리 상승 등에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1.57%의 저축성 수신 금리는 2019년 12월(1.60%) 이후 1년 11개월만의 최고 수준이다.

예금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를 뜻하는 '예대마진'은 1.66%포인트로 10월(1.78%)보다 0.12%p 줄었다.

2021년 11월 예금은행 가중평균 금리. 한국은행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