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FC 특급 용병 세징야가 프로축구 2021시즌 국내·외 선수를 통틀어 최고 연봉 선수로 확인됐다. 세징야의 연봉은 14억8천500만원이다. 앞서 세징야는 K리그1 다이나믹 포인트에서 합계 5만7천689점으로 전체 1위에 올라 통계적으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로도 뽑혔다.
외국인 선수 중 2위는 제르소(제주유나이티드)로 13억3천400만원을 받았다. 3위는 구스타보(전북)로 11억7천400만원을 받는다.
대구FC의 또 다른 용병 에드가의 연봉은 공개되지 않았다.
국내 선수 중에는 김보경(전북현대)이 13억원으로 1위에 올랐고, 이청용(울산현대)이 12억8천6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홍정호(전북)가 12억6천200만원, 조현우(울산)가 12억4천300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프로축구연맹(총재 권오갑)은 31일 2021시즌 K리그1 12개 구단과 K리그2에서 군팀인 김천 상무를 제외한 9개 구단의 선수단 연봉 지출 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1시즌 K리그1 12개 구단이 지출한 연봉 총액은 1천73억782만4천원으로 집계됐다. 전북이 178억251만1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울산이 147억181만4천원, 제주가 98억8천427만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4위는 포항스틸러스로 84억3천323만원, 5위는 서울FC로 82억7천817만원이었다. 6위는 대구FC로 81억8천873만원이었다.
K리그1의 선수 1인당 평균 연봉은 2억4천859만원이고, 국내 선수로만 한정하면 2억747만원, 외국인 선수 평균은 6억2천389만2천원으로 집계됐다.
선수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많은 팀은 역시 전북으로 5억4천220만8천원, 2위는 4억8천467만5천원의 울산이다. 대구FC의 평균 연봉은 1억9천891만원이었다.
국내 프로야구와 비교하면 프로야구 2021시즌 신인과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평균 연봉은 1억2천273만원이었고, 최고 연봉 선수는 SSG 랜더스의 추신수 27억원이다.
프로축구 2부 리그인 K리그2 9개 구단 연봉 총액은 378억7천806만6천원, 1인당 평균 연봉은 1억2천228만6천원으로 집계됐다.
프로축구연맹은 "선수단 연봉은 기본급과 각종 수당을 모두 포함한 실지급액을 기준을 산출했다"며 "2021시즌 전체 기간 각 구단에 한 번이라도 등록된 적이 있는 모든 선수를 대상으로 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