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퇴압박' 마주한 이준석 "고려한 바 없다"

이준석-중진 의원 연석회의 연기… 정진석 "당 대동단결하는 모습 보여야"
尹 '선대위 해체' 발표 이후 이준석 "제 주장과 닿아 있어 상당한 기대"
김재원 "사퇴 안하면 방법 없어"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 앞에서 취재진에게 윤석열 대선 후보의 선대위 쇄신 기자회견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 앞에서 취재진에게 윤석열 대선 후보의 선대위 쇄신 기자회견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일 '선거대책위원회 해산·쇄신'이라는 초강수를 둔 것에 맞물려 이준석 당 대표에 대한 거취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초·재선 의원뿐 아니라 중진들까지 나서 당 안팎에서 공개적 사퇴 요구가 분출되는 모양새다.

선대위직을 사퇴했던 이 대표 책임론이 당 대표 사퇴론까지 번지면서 이 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당내 긴장이 고조되는 양상이다.

윤 후보와 장기간 갈등을 빚고 있는 이 대표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당 일각의 사퇴 압박에도 이 후보는 대표직에서 물러날 생각이 없다는 뜻을 확고히 했다.

이 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 일각에서 사퇴론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 '어떤 경우에도 자진 사퇴는 안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지금 전혀 고려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자신을 겨냥한 사퇴 요구와 관련해 선대위가 '이준석대책위원회'로 변질됐다고 날을 세우며 "애초 이준석대책위 역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일부 의원들이 당직을 내려놓으면서 자신의 거취를 압박하는 데 대해선 "당직은 제가 임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 대표의 거취는 당 대표가 결정한다"며 "당을 위해 그렇게 판단하시는 분이 있다면, 존중해서 제가 또 결원을 채우도록 하겠다"고 했다.

당내 상황에 대해선 "보통 일반적인 상황이라고 그러면 '당 대표께서 일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드리겠다. 제발 복귀해 달라' 해도 시원치 않은 판에, 시답잖은 무슨 이야기를 하면서 오히려 감정 격화시키는 사람들의 의도는 분명히 어딘가에 있다"고도 말했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를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를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오후 예정됐던 이 대표와 3선 이상 중진 의원들 간 연석회의는 취소됐다.

대표 사퇴 압박 수위를 높이던 중진 의원들과 "사퇴는 없다"는 이 대표 간 최악의 충돌 상황은 피한 것이다.

정진석 국회부의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윤 후보가 기자회견을 했으니 대표와 중진들이 만나는 것은 연기하려고 한다"며 "중진들이 만나서 또 다른 단락을 만드는 게 적절치 않은 것 같다"며 연기된 배경을 설명했다.

연석회의에서 당내 갈등 중심에 선 이 대표를 향한 직접적인 문제 제기로 또다시 당내 갈등이 표출될 수 있는 만큼 잠시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윤 후보의 기자회견 이후 연석회의가 취소되면서 당내 기류가 다소 변화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에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후보가 발표한 선대위 해체와 재구성 방안과 관련 "개편 방향성은 큰 틀에서 봤을 때 제가 주장했던 것과 닿아 있는 부분이 있다. 상당한 기대를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밝혀 입장 변화 여지를 두기도 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서는 최근 윤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세로 접어든 데에는 선대위 내홍의 중심에 있었던 이 대표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숙지지 않고 있어 이 대표를 둘러싼 당내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

대선을 앞두고 이 대표가 물러나는 것이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이날 TBS 라디오에서 "대표가 사퇴하지 않으면 그것을 강제적으로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면서 "더군다나 지금 대선전이기 때문에 그런 꼴사나운 모습을 연출해서 국민들의 지탄을 받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무리한 수단으로 어떻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