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해평취수장 문제, 이제는 구미시가 결단할 때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에 대한 대승적 결단을 촉구하는 구미 시민사회단체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일부 정치인 등 반대론자들 때문에 취수장 이용이 계속 가로막힐 경우 두 지역 관계가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내몰릴 수 있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어서다. 무엇보다 구미시가 마주한 정책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도 취수장 문제 때문에 발목이 잡힌다면 구미 발전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민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도 주요 배경이다.

구미 발전을 생각하는 사람들과 해평취수원상생구미연합회 등 단체는 최근 "일부 정치인들이 취수장 공동 이용을 계속 반대할 경우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낙선운동을 펼칠 것"이라고 강하게 압박했다. 이들은 지금은 묵은 감정과 갈등을 접고 하루속히 매듭을 풀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특히 구미 시민 70% 이상이 공동 이용을 찬성하는 지금이 지역 상생과 구미 재도약의 적기라며 조속히 대구시와 취수장 공동 이용 협정을 마무리하라고 구미시에 촉구했다.

정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낙동강 해평취수장 물을 대구시와 함께 쓰는 낙동강통합물관리 방안(하루 30만t)을 의결한 것이 지난해 6월이다. 하지만 이후 6개월 동안 아무런 진척이 없는 상태다. 반대론자들의 거센 입김에 구미 발전을 위한 주요 협상이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구미 시민 입장에서 상생도 중요하지만 자원의 일방적인 양보가 결코 쉽지 않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극단적인 반대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특히 KTX 구미역 신설 과제나 해평습지 복원 사업, 신공항 배후도시로서의 위상 등 갈 길이 멀다. 이 현안을 빠르게 해결하려면 지역 간 긴밀한 협력과 지원이 절실하다.

일부 시민단체의 쓴소리는 거시적인 안목에서 어느 방향이 구미 발전에 도움이 되는지 화두를 던진 것이다. 이제는 배타적이고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야 할 때다. 지역 간 상생과 공존이야말로 구미 발전의 밑거름이 되고 나아가 구미가 재도약하는 든든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