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기차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전기차의 친환경성과 경제성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진다는 전망이 나왔다.
10일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자동차 산업 5대 트렌드는 ▷본격 시험대에 오르는 전기차 산업 ▷글로벌 자동차 산업 가치사슬 변화 ▷중국차 세계시장 약진 ▷차별화에 고심하는 완성차 기업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 전환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지난해 전 세계 친환경차(xEV) 판매량이 1천만대를 넘을 것이 확실하다며, 이중 배터리 전기차(BEV) 판매가 430만대로 전년 대비 93.7%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동시에 전기차가 과연 친환경차인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원은 전기차의 친환경성 우위가 뚜렷하지 않으면 완성차 기업이 전기차 주력화 시점을 늦추고 하이브리드차 등으로 수익성을 높이려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간 '얼리 어답터'를 중심으로 전기차 구매가 늘었지만, 전기요금 인상 등의 리스크가 있다면 주류 소비자는 전기차 구매에 주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올해도 각국 정부가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유지한다는 방침이어서 전기차 판매 증가세가 꺾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원은 또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중국의 자동차 산업 신규 투자 유치 정책이 글로벌 자동차 가치사슬 변화를 앞당길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은 자국 내 노조가 결성된 완성차 기업에서 생산한 친환경차에 한해 추가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중국은 외국의 완성차 기업이 지분 100%로 승용차 제조업을 할 수 있도록 지분 제한을 폐지한다.
이같은 정책을 통해 미국은 미국 중심의, 중국은 중국 중심의 자동차 시장 가치사슬을 형성하려 한다는 것이 연구원의 얘기다.
중국 브랜드 자동차가 세계 시장에서 약진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의 완성차 수출량은 지난해 1~11월 역대 최대인 179만대를 기록해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중국 브랜드 차는 합리적인 가격과 뛰어난 성능 등 높은 상품성을 바탕으로 서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신흥 시장에서도 중국 초소형 전기차 등 저가 전기차의 수출 확대가 예상된다.
연구원은 올해 전 세계 판매량에서 중국 브랜드 비중은 낮은 수준에 머물겠지만, 브랜드 이미지는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동력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올해는 완성차 기업 각자가 차별화에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주요 완성차 기업은 파워트레인·섀시 등 자동차 핵심 요소에 대한 독자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차별화했지만, 파워트레인 전동화와 소프트웨어 발전 등으로 차별성이 옅어지고 있다.
연구원은 전기차가 보편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소비자는 테슬라 등 선도 기업의 구동 성능, 배터리 용량, 충전 속도를 표준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봤다.
완성차기업이 선도 기업을 추격하려 동급 부품 사용 등을 지향하면서 제품의 동질화가 나타나고 있다. 향후에는 완성차 업체들이 차량의 기본 주행 성능보다 다목적성이나 서비스 차별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 화두인 '디지털 전환'은 자동차 업계도 예외가 아니다.
연구원은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정보 보안, 데이터 소유권 이슈 등 사회적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며 "그럼에도 차 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피할 수 없는 물결"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