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립운동가 허위 선생 친손녀, 조부 고향 구미에 묻힌다

12일 허로자 여사 유해 봉안식…구미 공설 납골당인 숭조당에 모셔
생전 “할아버지 묘 옆에 아버지 비석 세우는 게 소원”
지역 모셔오는 데 市·의회 큰 공

왕산 허위 선생 친손녀 허로자 여사 생전 모습. 매일신문 DB
왕산 허위 선생 친손녀 허로자 여사 생전 모습.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 출신 항일의병장 왕산 허위(許蔿 1854~1908) 선생의 친손녀인 허로자 여사(매일신문 2021년 12월 29일 자 22면·30일 자 8면)의 유해가 96년 만에 경북 구미에 안장된다.

10일 민족문제연구소 구미지회에 따르면 허 여사 유해 봉안식이 오는 12일 오전 11시 구미 공설 납골당인 숭조당에서 열린다.

허 여사는 지난달 26일 서울에서 향년 9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나, 경제적으로 궁핍해 유해를 모실 곳을 찾지 못했다.

허 여사의 장례식도 구자근(구미갑) 국회의원의 도움으로 LS전선㈜이 빈소와 장례비용 등을 전액 부담해, 어렵사리 장례식을 마쳤다.

화장한 유해를 모실 곳이 마땅치 않아 서울에 사는 5촌 조카가 잠시 모시고 있다가 이번에 구미로 오게 됐다.

허 여사의 유해를 구미로 모시는 데는 김재상 구미시의회 의장과 구미시 등의 도움이 있었다고 민족문제연구소는 덧붙였다.

우즈베키스탄에 살던 허 여사는 지난 2006년 10월 한명숙 국무총리 초청으로 80여년 만에 한국을 처음 방문했으며, 이후 최근까지 서울에서 생활했다.

왕산 허위 선생 친손녀 허로자 여사 생전 모습. 매일신문 DB
왕산 허위 선생 친손녀 허로자 여사 생전 모습. 매일신문 DB

허 여사는 2007년 법무부에 귀화를 신청했으나 거부당했다.

독립 후손 증빙 서류에 아버지의 이름이 국가보훈처에 등록된 '허학'이 아닌 '허형'으로 기재된 탓이다.

9촌 조카의 도움으로 2009년에서야 귀화 신청서를 다시 접수할 수 있었고 이듬해 귀화 허가증을 받고 2011년 1월 12일에 비로소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했다.

허 여사는 생전에 "할아버지 묘 옆에 아버지 비석하나 세우는 게 소원이었다"고 민족문제연구소 구미지회는 밝혔다.

왕산 허위 선생은 구미 임은동 출신으로 조선 말기에 항일 의병장으로 활동했다.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고종의 어명으로 1907년 13도 연합의창군 1만여명을 이끌고 서울진공작전을 벌이는 등 의병 활동을 하다 체포돼, 1908년 서대문형무소에서 54세의 일기로 순국했다.

3대에 걸쳐 14명의 독립투사를 배출한 독립운동가 집안이지만 항일운동으로 집안이 풍비박산 나면서 허위 선생 후손들은 한국과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 등 여러 곳으로 흩어져 살고 있다.

김영덕 민족문제연구소 구미지회장은 "독립운동가 후손이 구미에 오게 된 것은 처음"이라며 "독립운동가 후손으로 평생 고생을 하셨을 텐데 이제는 할아버지가 잠들어 계신 곳에서 영면하시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