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회용품 10%씩 줄이고, 재활용·업사이클 산업 키우고

대구시, 2030년까지 재활용 폐기물 처리 개선한다
950억원 투입해 요일별 수거제 도입·공공선별장 확대
기피시설 늘리기 어렵고 폐기물 배출 모니터링 없어 한계 지적

대구 동구 재활용센터 전경. 매일신문DB
대구 동구 재활용센터 전경. 매일신문DB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소비가 확대되고 일회용품 소비가 급증하면서 대구시가 재활용품 처리시스템을 개선할 중장기 계획 마련에 나섰다.

재활용품 분리 품목을 세분화하고 요일별 수거제를 도입하는 한편, 공공선별장을 확충하는 게 골자다. 일회용품 사용량을 매년 10%씩 줄이고 재활용·업사이클 산업을 육성하는 등 분리 배출과 선별 중심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피시설로 꼽히는 거점수거시설이나 공공선별장을 확대하는 과정이 쉽지 않은데다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빠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재활용 폐기물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10일 대구시에 따르면 2020년 대구에서 배출된 폐합성수지류는 하루 평균 172.5t으로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167.5t보다 2.9% 증가했다.

특히 포장재로 활용되는 비닐류는 같은 기간 하루 평균 55.1t에서 61.5t으로 11.6%나 배출량이 늘었고, 페트(PET)병도 53.5t에서 57.4t으로 7.2% 확대됐다.

이처럼 일회용품 소비가 늘면서 대구시는 폐기물 재활용 자원의 발생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을 개선할 '자원재활용 2030' 계획을 내놨다. 2030년까지 949억7천만 원을 투입, 해마다 늘어나는 재활용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자원 순환 경제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대구 동구 재활용센터 선별장. 매일신문DB.
대구 동구 재활용센터 선별장. 매일신문DB.

우선 분리배출 취약지역인 단독주택과 상가를 대상으로 재활용품 분리배출 요일제를 도입한다. 올해는 투명 페트병과 폐비닐은 지정된 요일에만 배출하고 그 외 품목은 나머지 요일에 수거한다. 이후 2026년에는 4종, 2030년에는 6종으로 요일제 수거품목을 세분화할 예정이다.

거점수거시설(재활용동네마당)을 추가하고 공공선별장도 확대한다. 시는 현재 25곳이 운영 중인 거점 수거시설을 올해 4곳 더 늘리는 등 2030년까지 2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구에 지상 5층 규모의 재활용센터를 건립, 대형폐기물과 중고 물품의 교환 판매와 자원 순환 체험 교육장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2030년까지 549억원을 투입해 중구와 달서구(2026년), 서구(2030년)에 공공선별장을 추가로 짓기로 했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폐기물 재활용률을 2019년 73%에서 2026년에는 80%, 2030년 90%까지 끌어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재활용산업을 육성하고자 재활용 촉진 기금을 5년 간 매년 10억원씩 50억원을 조성한다. 이 기금은 침체한 재활용산업과 업사이클링 분야 육성에 활용된다.

공공기관과 지역 축제, 야시장 등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억제해 2026년까지 공공 부문 1회용품 사용 제로를 달성하고 민간부분도 매년 10%씩 사용량을 줄이기로 했다.

대구시가 10일 발표한 자원재활용 2030로드맵. 대구시제공.
대구시가 10일 발표한 자원재활용 2030로드맵. 대구시제공.

그러나 각 구·군별 폐기물 배출량에 대한 측정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은데다 주민 민원 등으로 공공선별장 설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태관 계명대 환경과학과 교수는 "폐기물을 모으는 시설만 늘릴 것이 아니라 각 지역별, 품목별로 하루 배출량이 파악이 돼야 지역 맞춤형 개선책을 마련할 수 있다"면서 "일괄적인 시설 조성보다는 폐기물 처리 방식을 지역별 맞춤형으로 짜서 인력을 투입해야 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공공선별장 확대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폐기물 처리업계 관계자는 "이미 도시화된 중구와 달서구에 기피 시설로 여겨지는 선별장을 마련하는 것도 큰 과제"라며 "서구 지역도 대규모 개발 수요와 맞물리면서 부지확보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