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사 이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대구 남구청이 이전 부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3일 남구청에 따르면 지어진 지 50년이 넘은 남구 봉덕동 현 청사는 노후가 심각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2006년에 진행된 구조안전진단 결과에서 긴급 보수가 필요한 D등급을 받았고, 일부 유지 보수를 진행한 뒤 받은 2020년 안전진단에서는 C등급을 받았다.
남구청은 2019년부터 신청사 이전 건립을 준비했다. 당시 앞산 고산골 입구 주차장, 대명9동 일대가 후보로 올랐지만 2020년에 진행한 '구청사 신축 타당성 조사 및 기본 구상안 수립 용역'에서 모두 부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남구청은 지난해부터 캠프 조지 외인아파트 부지 매입에 공을 들였다. 미군 부대 이전에 따라 캠프 조지 부지에 행정기관이 들어서는 게 상징성이 크다고 봤기 때문이다.
2018년 반환된 캠프조지 외인아파트는 면적 3만1천326㎡로 아파트 부지와 건물 모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소유다. 남구청은 LH가 소유한 일부 땅을 구입해 남구청 신청사를 지으려고 했지만 LH가 난색을 보였다.
LH와 협상이 난항을 겪자 남구청은 올해부터 봉덕동 한 중·고등학교 부지를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 인근 도로가 협소해 차량 진·출입이 쉽지 않고 교통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전 부지를 찾지 못한 남구청은 현 부지에 신청사를 짓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 다만 이 경우도 신청사를 짓는 동안 임시 청사를 찾아야 하는데 이 역시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 인근 통신사 건물을 임시 청사로 검토했으나 통신 장비와 막대한 임대 비용 등으로 무산됐다. 남구청은 임시 이전이 신청사 이전 비용보다 100억원 이상 더 들 것으로 파악했다.
남구청 관계자는 "신청사를 짓기 위해선 6천㎡ 이상 부지가 필요한데 남구에는 그만한 땅이 드물다"며 "5~6개월 정도 여유를 두고 부지 선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남구청은 청사 이전을 위해 2019년 신청사 건립기금 조례를 제정해 기금을 적립하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255억원을 모았고 올해 150억원을 추가로 확보해 2023년까지 505억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