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이른 시일 내 우세종이 될 것이란 전망이 짙어지면서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가동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4일 브리핑을 통해 "하루 확진자가 단 한 번이라도 7천명을 넘으면 엄격한 검사와 격리로 감염원을 차단하는 방식의 현 방역체계를 전환할 것"이라며 "자가 격리기간을 줄이는 등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의료체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대응방안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국내 확진자 중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 비율은 22.8%다. 대구는 이보다 다소 낮은 19%를 기록했다. 정부는 오는 21일쯤 오미크론 감염자 비중이 우세종으로 판단하는 기준인 50%를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향후 하루 확진자가 5천명 이상이면 '대비 단계', 7천명을 넘으면 '대응 단계'로 구분해 방역체계를 운영한다. 대비 단계까지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11개국으로부터 입국 제한 등 오미크론 유입을 차단하고, 확진자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현행 방역 체계를 유지한다.
대응 단계부터는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한 '선택과 집중'으로 방역전략이 바뀐다. 자가 격리 및 재택 치료기간은 기존 10일에서 7일로 단축된다. 유전자증폭(PCR) 검사는 유증상자, 고위험군, 65세 이상 고령자, 밀접접촉 등 역학적 관련이 있는 사람,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사람을 우선으로 진행한다.
65세 이하 무증상자는 의료기관에서 신속항원검사로 확진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병·의원급 의료기관도 코로나19 검사에 참여하도록 하고, 신속항원검사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의료기관에서 받지 않은 자가 검사 결과는 인정하지 않는다.
대응 단계에 돌입하면 지역 병·의원 중심의 일상 진료체계를 가동한다. 방역당국은 호흡기 전담 클리닉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의원 등을 1차 대응 의료기관으로 지정하는 등 코로나19 진료가 일상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경증 환자는 동네 병·의원에서 외래 진료·처방을 받은 뒤 재택 치료를, 중등증 이상 환자는 감염병전담병원 등에서 입원 치료를 받게 된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오미크론이 우세종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증화율이 높은 델타 변이에도 함께 대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며 "중증 환자 발생과 의료체계 여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각종 방역규제를 점차 해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구의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는 14일 0시 기준으로 전날보다 45명 증가, 414명이다. 해외유입 사례 7명 중 2명은 최근 미국에서 열린 'CES 2022'에 참가한 지역 기업인들이다. 대구시는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인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365명분을 약국 8곳과 생활치료센터 2곳에 공급했다.
허현정 기자 hhj224@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