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종 분포율이 50.3%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도 오미크론 코로나 우세종화가 이제 시작된 것이다. 확진자 수도 사흘 연속 7천 명대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치에 바짝 다가섰다. 대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오는 가운데 지난 1주일간 오미크론 분포율이 81.6%나 됐다. 설 명절 연휴를 감안하면 국내에서 1만~2만 명대 또는 그 이상의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전파력이 델타 변이종에 비해 2~4배 높은 오미크론 특성상 기존 방역 대응 방식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최악의 경우 매일 몇십만 명씩이나 되는 국민들을 자가 격리해야 하거나 감염자 폭증을 PCR(유전자 증폭) 검사가 감당 못 하는 일이 빚어질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패스를 더 강화하거나 장기화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제 오미크론 우세종화에 따른 방역 체계 전환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오미크론 확산과 관련해 정부는 신속항원검사 확대 및 격리 기간 단축을 골자로 하는 방역 체계 전환을 예고한 바 있다. 오미크론 우세종화가 된 광주와 평택 등 전국 4개 지역에서는 26일부터 오미크론 대응 방식을 전환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의 대응을 보면 오미크론 확산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는 인상마저 준다. 바뀐 방역 대응 체계가 의료 현장에 안착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늦어도 1~2주 안에는 방역 방식의 전면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료인들의 충고를 정부는 흘려듣지 말아야 한다.
그나마 긍정적인 것은 오미크론의 위중증화 비율이 델타 변이종의 4분의 1 수준이라는 점이다. 남아공, 영국 등 해외 사례에서 볼 때 오미크론 감염자는 급속도로 불어나 정점을 찍은 뒤 가파르게 떨어진다는데 우리나라는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오미크론 우세종화에 대비한 방역 대응 시스템을 최대한 빨리 구축해 이 위기 국면을 잘 넘긴다면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에 대한 기대감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