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커녕 포스코까지 서울로 가져가나

포스코 지주회사의 서울 이전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다. 포스코를 자회사로 두는 포스코홀딩스가 설립되고, 포스코홀딩스가 서울에 위치하는 데 따른 후폭풍이 명확해 포항시, 포항시의회, 지역 정치권,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경북도까지 대응에 나섰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성명서를 통해 "포스코 지주회사의 서울 이전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 도지사는 "포스코 지주회사의 수도권 이전은 국가와 지방이 모두 공멸하는 시대 역행적 발상"이라며 "포스코 지주회사는 경북도의 동반자로서 반드시 지역에 있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김정재(포항북)·김병욱(포항남울릉) 국회의원도 성명서를 통해 서울 이전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포항 시내에는 이전 규탄 현수막이 대거 내걸렸고, 국회에선 규탄 기자회견이 열렸다. 포스코 주주총회가 열리는 28일엔 서울 포스코센터 앞에서 항의 집회가 예정돼 있다.

대구경북 시도민이 포스코 지주회사의 서울 이전에 반대하는 것은 포스코가 단순한 대기업이 아니라 포항 시민은 물론 시도민과 희로애락을 함께해 온 존재여서다. 반세기 넘는 세월 동안 포항 시민은 환경 문제를 감내하며 포스코를 전폭적으로 응원해 왔다. 포스코 경영진의 행태에 포항 시민은 우려와 서운함을 넘어 배신감을 감추기 어렵다. 포스코 지주회사 서울 이전은 포항 시민에게 팔이 하나 잘려 나가는 것 이상의 고통을 줄 수밖에 없다. 포스코를 만든 박정희 대통령과 박태준 회장이 하늘에서 통탄할 것이다.

국내 1천 대 기업 중 74%, 100대 기업 중 91%가 수도권에 집중해 있다. 이런 마당에 포스코 지주회사의 서울 이전은 수도권 일극 체제를 강화해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정책과도 정면 배치된다. 최정우 회장을 비롯한 포스코 경영진은 포스코 지주회사를 포항에 두기 바란다. 포항 시민의 희생·헌신을 눈곱만큼이라도 생각한다면 서울 이전은 어불성설이다. 포스코를 가족기업으로 여기는 포항 시민 가슴에 비수를 꽂지 말기 바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