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 대통령 중동 수행단 코로나 확진 사실 미공개 靑…야권 "왜 숨기나" 논란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숙 여사와 21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 국제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해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숙 여사와 21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 국제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해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순방에 동행했던 수행단 일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확진된 것이 뒤늦게 확인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문 대통령이 귀국 후 3일 자가 격리하고 업무에 복귀한 사실만 알리고, 수행단의 감염 여부에 대해선 공개하지 않은 청와대를 두고 야권에서는 "민주 정부의 수반으로서 최소한의 책임감과 투명성을 저버렸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며 경위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28일 수행단 일부의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대해 "순방 귀국 후 PCR(유전자증폭) 검사 결과 소수의 동행 인력에서 확진 판정이 나왔다"고 인정했다. 이들은 귀국 시 문 대통령과 함께 전용기를 탔다. 확진자는 경호처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청와대는 구체적인 정보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청와대 측은 "확진자 발생이 보고된 뒤 방역지침에 따라 철저히 조치를 마쳤다. 이후 추가감염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며 이들로 인한 추가 확진이 나올 가능성은 작다고 일축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6박 8일간의 중동 순방 이후 3일간 재택근무를 했고, 귀국 후 긴급하게 주재한 26일 코로나 대응 회의도 비공개로 진행했다. 여기에 당초 27일로 예정됐던 신년기자회견까지 갑작스럽게 취소돼 그 배경을 두고 궁금증이 일었다.

청와대는 또 27일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당초 설 명절에 양산으로 귀성 예정이었지만, 계획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순방 수행단의 확진 가능성이 거론됐고, 심지어 문 대통령이 감염된 것 아니냐는 추측성 루머도 돌았다.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 국제공항에서 아므르 탈라트 정보통신부 장관의 영접을 받으며 공군 1호기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 국제공항에서 아므르 탈라트 정보통신부 장관의 영접을 받으며 공군 1호기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는 대통령의 건강 문제는 국가 기밀이라면서도 문 대통령 감염설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측은 신년기자회견이 취소된 데 대해서도 "오미크론 대응 강화를 위해 회견을 열지 않기로 한 것일 뿐 순방기자단 확진 여부와는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귀국 뒤 이례적으로 재택근무를 한 데 대해 "문 대통령의 경우 격리면제자이기 때문에 이제까지 재택근무를 하지 않았지만, 최근 오미크론 유행 이후 보건당국의 지침이 격리면제자들도 사흘간 재택근무를 하는 것으로 변경됐다"며 이 지침을 따른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국민의힘 허은아 대변인은 전날 순방단 일부의 감염 사실이 확인되기 전인 27일 논평에서 "세간에는 문 대통령이 순방 중 코로나 확진자를 접촉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면서 "청와대와 대통령은 이례적인 자택격리의 경위에 대해 국민께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경위와 진상 공개를 요구했다.

김기현 원내대표 역시 "'관광 순방'이라는 비판을 의식해 순방 중 대통령 일행이 코로나에 노출된 사실을 숨기려는 조치가 아닌지 강한 의구심이 든다"며 "명확한 사실을 국민에게 알려야지 숨길 일이 아니다"라고 청와대를 겨냥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년 전 설날이었던 2021년 2월 1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영상을 통해 국민께 새해 인사를 전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년 전 설날이었던 2021년 2월 1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영상을 통해 국민께 새해 인사를 전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