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국 9개 국가거점국립대 서울대급 연구중심大로"

거점국립대 총장들 "지역에 서울대 수준 연구중심대학 육성해야" 한목소리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 열고, 고등교육 대선 4대 공약 제안
국립대학법 제정, 지역인재 채용의무제 개선 등 포함

국가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가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 4대 공약을 제안했다. 경북대 제공
국가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가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 4대 공약을 제안했다. 경북대 제공

경북대를 비롯해 전국의 9개 국가거점국립대학 총장협의회(이하 총장협의회)가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대선 공약으로 제안했다.

총장협의회는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수도권 중심의 대학서열 구조를 탈피하고 지역에 특성화된 연구 중심대학을 육성하는 것이 해결책이다"며 "거점국립대학을 연구중심대학으로 전환하는 것이 단기간에 성과를 낼 가장 혁신적이고 실효적인 방안"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립대학법 제정 ▷지역인재 채용의무제 개선 ▷국·공립대학 무상등록금제 시행 ▷지역 연구개발 재정 강화와 관련법 정비를 통한 지역거점 연구중심대학 육성 등 4대 정책을 제안했다.

총장협의회는 "현재 거점국립대학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서울대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거점국립대를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해선 최소한 국립대학법인 평균수준으로 예산을 늘려야 해 국회 계류 중인 국립대학법 제정을 청원한다"고 했다.

아울러 "지역 우수 인재들이 지역에 잔류해야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수도권 과밀을 해소할 수 있는 만큼 현행 혁신도시법 내 공공기관 소재 지역 학생 30% 선발 의무화에 지역 외 비수도권 출신 20% 선발을 추가하도록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국·공립 지역대학 학부생의 등록금 전액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한다는 제안도 내놓았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소멸을 막고, 헌법과 교육기본법이 정한 교육받을 권리와 기회의 보장을 위해서다.

특히 지역거점 연구중심대학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거점국립대학에 국가출연 연구소를 신설하거나 분원을 설립하고, 정부 지원 우수특화연구센터를 지역이나 대학별로 설치해야 한다고 했다. 또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수준으로 재정 지원을 늘리고, 우수 교원에 대한 보수 제한도 풀 것을 요구했다.

총장협의회는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같은 지역에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을 만드는 것이 대한민국 재도약과 지역 미래 산업 지도를 바꿀 혁신적 대안이다"며 "이에 국회와 정부가 응답함으로써 이번 대선을 고등교육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전환점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참여한 대학은 지역의 경북대를 비롯해 강원대와 경상국립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제, 충남대, 충북대 등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