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 오후 8시쯤 동성로 로데오 거리 인근. 대구 YWCA 등 시민단체와 구청, 경찰로 구성된 '민관협력 청소년 유해환경감시단'이 30여 곳의 노래방과 술집을 다니며 신분증을 검사하고 '청소년 술 판매 금지' 안내판을 확인했다.
감시단이 들어서자 일부 손님들은 "신분증이 없다"며 밖으로 나가려다 경찰관에게 제지 당했고 일부 식당과 클럽 관계자는 "청소년이 오지도 않고 코로나19로 손님도 없는데 굳이 단속해야겠느냐"고 핀잔을 주기도 했다.
감시단으로 활동하는 A씨는 "술을 먹거나 성인 노래방을 이용하는 청소년이 적발되기도 하는데, 보호자에 연락해도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부모가 상당수"라며 "청소년이 가짜 신분증을 보여주면 구분이 어렵고 경찰이나 공무원이 대동하지 않으면 확인도 어렵다"고 털어놨다.
최근 대구 도심에서 벌어지는 잦은 청소년 비행에 민간단체가 청소년 유해 환경 단속에 나서는 등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강제력이 없고 인력 부족과 업주의 거부 등으로 고충을 겪고 있다.
대구시와 대구YWCA는 올해 1월부터 대구경북 흥사단, 패트롤맘, 청소년지도협의회 등과 함께 '유해환경 감시단'(이하 감시단)을 운영하고 있다.
감시단은 청소년 출입 및 고용 여부와 청소년 주류 판매 안내 스티커 부착 등을 단속한다. 청소년 지원 단체끼리 진행하는 기동 단속은 월 4회, 공무원·경찰과 함께하는 민관협력 단속은 월 1회 진행한다.

하지만 단속은 순탄치 않다. 공무원이나 경찰이 동행하지 않으면 업주와 청소년의 거부 에 진땀을 흘리는 경우가 많다. 단속 인력이 많지 않아 도심 외곽은 엄두도 내지 못한다.
감시단 한 관계자는 "달성군 등 외곽 지역은 청소년 보호법을 잘 모를뿐더러 주류 판매 금지 스티커를 부착하지 않은 곳들도 수두룩하다"면서 "차량이 없으면 가기 어렵고 감시단 인력도 부족해 고스란히 사각지대로 남는다"고 털어놨다.
단속이 업주 위주가 아니라 '청소년 교육'에 더 맞춰져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업주들은 "청소년들이 성인인 척 속여 출입하거나 경찰에 신고하는 등 피해를 입는 경우도 많다"고 호소했다. 감시단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해 환경 출입 금지 등에 대한 사전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대구시 관계자는 "단속 실효성을 높이고자 단속 시간을 오후 9시부터 자정까지 진행하고 금요일 밤에 단속을 강화하는 식으로 계획을 짰다"며 "경찰과 함께 나설 수 있는 민관협력 단속이 더 많아지도록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