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수원 공동 이용 협정두고…환경단체, 시민단체 목소리 엇갈려

대구경북 환경단체 "취수원 이전은 녹조 해결 안돼, 낙동강 포기정책’
취수원다변화범추위 "양 도시간 해묵은 물 문제 해결 환영, 지역 상생 디딤돌 될 것"

4일 오전 환경단체로 구성된
4일 오전 환경단체로 구성된 '낙동강네트워크' 등 20여 명이 대구시청 앞에서 취수원 이전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임재환 기자

4일 구미 해평취수원을 대구와 경북이 공동 이용하는 내용의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이 체결된 것을 두고 지역 시민사회단체의 목소리가 엇갈렸다.

대구경북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낙동강네트워크' 등 회원 20여 명은 이날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시의 구미 해평 취수원 공동이용 협정 체결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취수원 이전은 낙동강 녹조의 해소할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데다, 취수원 이전에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대구가 구미 해평취수원에서 물을 공급받는다고 하지만 구미도 녹조 문제는 마찬가지"라며 "낙동강 보의 수문을 열어 낙동강을 흐르는 강으로 되돌려야 한다. 빠른 유속과 습지 등으로 인한 자정 작용이 이뤄지면 녹조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한 "취수원을 이전하려면 7천199억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막대한 예산을 취수원 이전이 아닌 오염원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곳에 투입하는 게 옳다"면서 "낙동강 중류 관리를 포기하면 하류에 취수원을 둔 부산경남도 대구처럼 취수원 이전을 강행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후 권영진 대구시장 얼굴이 그려진 가면을 쓰고 낙동강 포기 규탄 퍼포먼스를 벌였다.

반면 해평취수원 공동 이용을 환영하는 시민사회단체의 목소리도 나왔다. 대구취수원다변화범시민추진위원회(이하 범추위)는 성명을 내고 이날 협정식 체결을 환영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대구 시민 중 66%가 먹는 수돗물의 취수원이 대규모 전자·화학 공장이 밀집한 구미공단에서 불과 31㎞ 하류에 위치해 항상 먹는 물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살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양 지역 간의 불신과 오해로 취수원 문제가 해결이 쉽지 않았던 것이 현실"이라며 "오랜 시간 끌어온 양 도시 간의 물 문제가 마침내 해결된 것을 크게 환영하며 이번 협정 체결은 양 도시 간의 상생 발전을 위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