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靑, '법흥사터 초석 논란'에 "文 난감해했다…부처님 공경 한결같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지난 5일 청와대 뒤편 북악산 산행 도중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지난 5일 청와대 뒤편 북악산 산행 도중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 앞에서 합장하고 예를 올리고 있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 페이스북

문재인 대통령이 북악산 산행 도중 법흥사터 초석에 앉아 불교계의 비판을 받은 것과 관련해 "저는 천주교인이지만, 천주교의 교리와 불교의 진리는 결국 하나로 만난다는 생각을 늘 가지고 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7일 페이스북에서 45번째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를 통해 "이틀 전 산행시 대통령 내외께서 법흥사 절터의 초석에 앉으신 것이 적절치 않다는 언론기사를 보고받은 문재인 대통령은 참 난감하신 것 같았다"고 전했다.

박 수석은 문 대통령이 평소에 불교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면서 지난 2017년 참모회의에서 문 대통령이 청와대 관저 뒤편 불상을 언급한 사연을 소개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경주 남산에서 모셔온 부처님 같다"며 이 불상에 대한 조사를 지시했고, 그 결과 이 불상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18년 4월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1977호로 지정됐다. 지정 명칭은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으로 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박 수석은 "대통령의 안목에 감탄하면서도 한편으론 부처님과 대통령의 인연이 꽃피운 연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던 기억"이라면서 "지난 5일 법흥사터를 지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발걸음은 어느덧 보물이 되신 부처님 앞에 이르렀다. 대통령 내외는 부처님 앞에 공손히 합장하고 예를 올렸다"고 했다.

박 수석은 논란이 불거진 이후에도 문 대통령이 불교와의 인연을 강조했다면서 "관저 부처님에 대한 말씀을 또 20여분 간이나 설명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사실, 제가 참여정부 민정수석 시절에도 그 부처님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 적이 있었다. 그때 문화재청장께서 알겠다고 하셨는데 그 후 진척이 없었다. 대신 제가 대통령이 되고 나서 그 부처님을 제대로 모실 수 있게 되었는데 이 역시도 부처님의 가피 덕분이라고 생각하고 기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일 서울 북악산 남측 탐방로를 산행하던 도중 절터 초석에 앉은 사진이 공개되자 불교계를 중심으로 '불교 문화유산을 소홀히 다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 6일 불교계 언론인 법보신문은 '대웅전 초석을 깔고 앉은 문 대통령 부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청와대의 불교 문화유산 인식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문화재청은 입장문을 내고 "문 대통령 내외가 착석하신 법흥사터 초석은 지정 또는 등록문화재가 아니다"면서 "사전에 보다 섬세하게 준비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공감하며 앞으로는 더욱 유의하겠다"고 해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