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범계 "나라 기강 무너져…한동훈이 대통령이냐"

'무혐의' 한동훈 "다른 국민 상대로 이런 짓 못하게 진실 밝히고 책임 물어야…"
박범계 "나라 기강 무너져…내게 죄 있으면 당당히 고발하라"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검사장)의 무혐의 처분을 놓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이어 박범계 법무부장관까지 가세하면서 감정싸움 양상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박 장관은 8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검찰총장의 수사지휘권 복원 관련 질문에 "현직 검사장이 현직 법무부장관의 이름을 거명하면서 책임을 물어야한다고 하는데 정상입니까"라며 "대통령도 그렇게는 못한다"고 작심 비판했다.

이는 한 검사장이 지난 6일 서울중앙지검의 '채널A 사건' 무혐의 처분 직후 입장문을 통해 박 장관 등을 거론하며 "진실을 밝히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래야만 어떤 권력이든 다른 국민 상대로 앞으로 다시는 이런 짓 못할 거라 생각한다"고 밝힌 것을 두고 한 말이다.

박 장관은 또 "금도라는 게 있는데 무슨 책임을 묻는다는거냐"며 "본인(한동훈)이 대통령인가 검찰총장인가. 대통령도 검찰총장도 그렇게 못한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박 장관은 "내게 죄가 있으면 당당하게 고발하라"며 "이건 나라의 기강과 질서, 체계가 무너진 것이라 참담함을 느낀다"고도 말했다.

이날 한 검사장은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사과를 요구하며 추가 법적대응 가능성도 열어놨다.

앞서 유 이사장은 전날 재판 전후 취재진과 만나 "(검찰은) 2년2개월간 (한 검사장의) 휴대폰을 안 열었고, 소환조사 한번 제대로 안했는데 무혐의 처분을 했다"며 "한동훈 검사를 명예훼손했다고 저에게 징역 1년 구형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동훈 검사는 이 재판 증인으로 나와 (검언유착 관련) 소환조사를 한번도 안 받았다고 얘기했다. 검찰에서 휴대폰만 열지 않은 것이 아니고 조사도 안했다"며 "수사를 아예 안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검사장)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부지법에서 열린 속행 공판에 출석,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검사장)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부지법에서 열린 속행 공판에 출석,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대해 한 검사장은 "유시민 씨는 제가 '조사도 받지 않고 무혐의 처리되었다'고 또 다시 공개적으로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며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으로 재판 받으러 나와서 또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일단 유시민씨가 사과할 것을 요구한다"며 "사과 여부에 따라 법적조치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경고했다.

유 전 이사장은 2019년 본인의 유튜브 채널 '알릴레오'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추측되는데 노무현재단 계좌를 들여다봤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한 바 있다. 2020년에는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한동훈 검사가 있던 (대검)반부패강력부 쪽에서 봤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발언해 한 검사장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전날 한 검사장 명예훼손 혐의 결심공판에서 유 전 이사장에게 징역 1년을 구형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