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도체 공급난·우크라 사태에…값싼 차가 사라진다

한자연이 11일 발표한 산업 동향 보고서

자동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동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반도체 공급난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등 대내외 악재가 겹치고 장기화하면서 앞으로 저렴한 자동차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이 11일 발표한 산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공급난, 소재가격 급등에 따라 각국의 신차·중고차 가격이 고공행진 중이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는 '카플레이션(car+inflation)'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쟁 장기화 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러시아산 네온과 팔라듐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우크라이나산 와이어링 하네스 등 부품 공급난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국제 유가 상승과 러시아 육상 운송 제한에 따른 물류비용이 증가하면서 자동차를 포함한 제조업 전반의 인플레이션을 하고 있다.

이런 여건 속에서 완성차 기업들은 타개책으로 이익률이 낮은 소형 세단·해치백 생산을 줄이고 수익성이 높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나 픽업트럭, 프리미엄 차종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또 배출가스 등 환경규제 대응 비용도 수익성이 낮은 차종을 시장에서 자연적으로 퇴출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에 생계 수단으로서의 자동차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자연은 "정부는 자동차 구매여력 변화에 대응해 차 세제 전반을 재검토하고, 자동차 생산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중복과세 여지가 있는 세목을 정리하고, 취약계층의 세금 감면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