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할 때 반드시 찾아오는 손님이 있다. 바로 슬럼프다. 누군가는 슬럼프를 극복하지 못해 허우적대고 누군가는 슬럼프를 기회로 삼는다. 슬럼프도 광고의 관점으로 접근해보자.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을 다양하게 해 답을 찾는 것이 광고인만큼 슬럼프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자.
1. 이겨내려 하지 않는다.
'너 또 왔니? 그래, 잠시 머물다 가'라는 마음으로 슬럼프를 대한다. 이렇게 마음먹으면 편해진다. '감기처럼 슬럼프도 왔다 가겠지'라는 마음으로 지낸다. 슬럼프와 싸우려 하지 않았으니 승패도 없다. 당신을 괴롭히는데 실패한 슬럼프는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떠나 버린다.
2. 한 사람을 찾는다.
슬럼프를 자신의 마음속에 가두면 자신만 괴롭다. 마음 밖으로 그 슬럼프를 배출해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이 한 사람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격이 없이 당신의 얘기를 들어줄 한 사람을 찾아라. 힘들고 괴로운 마음을 털어놓으면 가슴속의 슬럼프가 밖으로 빠져나가버린다.
3. 한 발 들여 넣기
일하기 싫을 때가 있다. 그런 때는 '한 발 들여 넣기' 작전을 쓴다. 일을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목표만 설정해보는 것이다. '오늘 일하지 않을 거지만 목표만 정해보자'라는 마음으로 말이다. 1주일, 한 달, 분기의 목표를 설정하다 보면 그것이 동기부여가 되는 순간이 온다. '이 목표 달성하려면 지금 해야겠는데?'라는 생각이 든다.
4. 짧은 시간 정하기
5분, 10분으로 그 일을 하는 짧은 시간을 정한다. 숫자의 힘은 사람을 예상 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에 있다. 하기 싫은 일이라도 7분 정도 하다 보면 3분만 더 하면 목표 달성이라는 생각이 든다. 마음이 편해진다. 짧은 목표를 설정해 조금씩 달성해보라. 그럼 점점 목표치가 상승해 일의 속도가 붙게 된다.

5. 중요한 일보다 중요한 것
중요한 일보다 좋아하는 것을 먼저 해본다. 물론 비효율적이다. 회사의 중요한 일을 먼저 처리해야 이윤이 극대화된다. 하지만 슬럼프에 빠졌는데 꾸역꾸역 일을 하다 보면 그 일조차 망칠 수 있다. 중요한 일은 중요한 만큼 안 할 수가 없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도 마음 한 켠에는 그 일이 있다. 좋아하는 일부터 하면 재미가 붙는다. '일은 하기 싫은 것이 아니라 재미있는 것'이라는 내 몸이 인식하게 된다.
6. 예전 기록을 찾아본다.
나의 경우, 처음 창업했던 때의 기록을 찾아본다. 그것은 회사 로고를 처음 만든 날의 기록일 때도 있고, 창업 첫 해의 매출일 때도 있다. 사진은 추억할 수 있어서 좋고, 숫자는 거짓말을 안 해서 좋다. 처음 사무실을 구하고 책상을 넣을 때 그 누구보다 도전 정신으로 가득 차 있던 시절이 떠오른다. 첫 해 매출을 보면 '거지였구나'라는 생각이 들면서 '지금은 배가 불렀구나'라며 오른손을 높이 들어 귀때기를 때리게 된다. 정신이 번쩍 든다.
7. 다른 사람의 모습을 본다.
인간은 어쩔 수 없이 비교할 수밖에 없는 동물이다. 슬럼프 역시 그렇다. '남들은 다 잘 먹고 잘 사는 것 같은데 나는 왜 이모양일까?'라는 생각에서 온다. 남들은 다 쉽게 이룬 것 같다. 그럴 때는 닥치고 유튜브에서 그 삶을 찾아보라. 홈런왕의 화려한 이면에는 그만큼 삼진도 많다. 쉽게 이룬 성공 같지만 그 사람의 그림자를 보면 그렇지 않다. 화려한 모습만 보려 하는 당신의 잘 못을 깨닫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