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동해안 일대를 대상으로 구상한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새 정부의 탈원전 폐기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경북도는 클러스터 조성이 완료되면 국내 원자력 산업의 허브로 거듭나는 것은 물론 세계적인 원자력 산업 중심지가 된다고 기대한다.
◆원자력 클러스터, 어디까지 왔나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는 경북 동해안 일대를 대상으로 지난 2011년부터 오는 2028년까지 총사업비 2조4천587억원 규모로 19개 사업을 추진하는 구상이다. 원자력 산업과 관련 기관을 한 곳으로 모아 미래 지향적인 최적의 원자력 클러스터를 조성하려고 한다.
그간의 추진 노력은 다수의 성과를 냈다.
혁신원자력연구단지와 중수로해체기술원, 방사성폐기물정밀분석센터 등 연구 실증을 위한 굵직한 국책 기관을 유치했다. 인력 양성을 위한 원전현장인력양성원,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 원자력 전문대학(원)은 이미 개원·개교해 운영 중이다.
앞서 ▷한국수력원자력(2016년 3월) ▷한국전력기술(2015년 8월) ▷한국원자력환경공단(2011년 3월) ▷한전KPS원자력정비센터(2019년 3월) 등 공공기관도 경북에 자리했다.
이로써 19개 사업 중 12개가 완료됐고 7개 사업이 현재 계획 중에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원자력 클러스터가 진정으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성과에만 안주해서는 안 되고 앞으로 남은 사업이 더 중요하다"면서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원전 정책 대전환기를 맞은 만큼 신속한 협의로 사업 지원을 끌어내겠다"고 했다.
◆원전 산업 도약, 머뭇거릴 시간 없다
경북도가 구상 중인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의 남은 조각 중 우선 중요한 사업은 소형모듈원자로(SMR) 특화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일이다. 원전 산업은 기존 대형 원전 중심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SMR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국내 SMR R&D 연구개발을 전담할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성 사업이 경주에서 추진 중인 만큼 이와 연계한 SMR 특화 국가산단이 필요하다고 본다.
SMR 제조·소재·부품 등 기업이 밀집한 산업단지를 지어 SMR 수출 기반을 조성해야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업 생태계가 조성된다고 판단한다.
원자력을 활용한 수소생산·실증, 이와 연계한 국가산단 조성도 경북도가 구상하고 있다. 전세계가 탄소감축 등을 위해 수소 에너지에 관심을 쏟는 상황에서 원자력의 고온, 저렴한 전기를 활용하면 경북은 대규모 수소생산·실증의 최적지나 다름이 없어서다.
도는 울진군 일원에 1조원 규모로 원자력 활용 수소생산·실증 단지를 구축하고 연계 산업단지를 조성, 지역의 새로운 발전 동력으로 삼고자 한다.
이 외 ▷국립 탄소중립 에너지 미래관 설립 ▷원자력안전위원회 경주 이전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 설립 등도 추진이 절실한 과제로 꼽힌다.
경북도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원전건설 백지화에 따른 지역경제 피해, 고용 감소로 경북 동해안 주민에게 큰 상처를 줬다"면서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구상에 국정 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대통령 인수위, 소관 중앙부처에 설명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