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석열 취임식 엠블럼 '장례 매듭' 논란…"억측 해소 위해 업그레이드"

"매듭 주변 날개 없는 사(死)동심결 모습"…취임준비위 "취지·의미 과도하게 왜곡, 안타깝다"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 박주선 위원장이 11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 기자회견장에서 취임식 슬로건과 엠블럼을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 박주선 위원장이 11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 기자회견장에서 취임식 슬로건과 엠블럼을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공식 엠블럼 '동심결' 디자인이 죽은 사람을 염습(殮襲)할 때 쓰는 '사동심결' 모습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취임준비위)가 "엠블럼을 업그레이드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12일 취임준비위는 입장문을 내고 "축제의 장이 돼야 할 대통령 취임식 엠블럼에 대한 억측을 해소하고자 엠블럼 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하기로 결정했다"며 "곧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취임준비위는 전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취임식 슬로건과 엠블럼을 공개했다.

이날 취임준비위는 "이번 엠블럼은 태극기와 '동심결'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것으로, 과거의 모든 갈등과 얽힌 것들을 풀어내고 하나로 다시 묶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자는 함축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디자인 시작 단계에서부터 '생동심결', '사동심결'을 모두 인지하고 있었다"면서 "그보다 포괄적인 개념인 '동심결'의 원형 자체를 표현하고자 했다. 변형·단순화를 통해 직관적인 시각적인 상징성을 갖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취임준비위는 "일각에서 취지·의미를 과도하게 왜곡해 매우 안타깝다"고 덧붙여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엠블럼(왼쪽) 디자인과 매듭 주변 날개가 없는 사동심결(오른쪽 위), 날개가 있는 생동심결(아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엠블럼(왼쪽) 디자인과 매듭 주변 날개가 없는 사동심결(오른쪽 위), 날개가 있는 생동심결(아래).

앞서 이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20대 대통령 취임식 엠블럼 설명 - 사동심결 매듭'이라는 제목의 글이 널리 퍼졌다. 작성자는 동심결의 무늬에 따른 용법을 소개했다.

전통 매듭 방식인 '동심결'은 죽은 사람 염습(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는 절차)에 쓰는 매듭인 '사(死)동심결'과 산 사람의 결혼 등에 쓰는 매듭인 '생(生)동심결'로 구분된다.

4개 매듭을 둘러싼 날개가 있으면 '생동심결'이고 없으면 '사동심결'인데,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가 전날 공개한 '동심결'은 '사동심결'과 유사하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다.

작성자는 "알고 쓰는지, 일부러 쓰는지, 이건 누가 디자인한 건지 (모르겠다)"라고 적었다.

이 글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급속히 퍼졌다. 일각에선 앞선 윤 당선인의 '무속 논란'을 언급하며 "무엇을 장례 치르겠다는 것이냐"는 지적도 잇따랐다.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씨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 대통령 (당선인) 취임식 엠블럼을 사동심결 매듭에서 따왔다. 5월 10일 민주공화정 대한민국을 장례 치르겠다는 뜻인가 보다"고 쓰기도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