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체육 활성화 적임자 누구?…地選 앞둔 市체육계 현안 해결 기대

지방세 의무 지원, 다목적 체육관 건립, 체육시설 운영. 생활체육 지도자 처우 개선 등

대구 체육인들은 6·1 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되는 대구시장이 5천 석 이상 규모의 다목적 체육관 건립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라고 있다. 대구실내체육관이 프로농구 대구 한국가스공사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는 탓에 여타 종목이 활용하는 데 크게 제약을 받는다고 호소하고 있다. 14일 오후 대구 북구 산격동 상공에서 바라본 대구실내체육관 모습.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 체육인들은 6·1 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되는 대구시장이 5천 석 이상 규모의 다목적 체육관 건립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라고 있다. 대구실내체육관이 프로농구 대구 한국가스공사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는 탓에 여타 종목이 활용하는 데 크게 제약을 받는다고 호소하고 있다. 14일 오후 대구 북구 산격동 상공에서 바라본 대구실내체육관 모습.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6·1 지방선거에서 대구시장을 새로 뽑는다. 대구시 체육인들은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대구시장이 체육계의 묵은 현안을 해결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대구시체육회 관계자들은 조만간 대구시장 출마자들을 만나 체육계 현안을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할 생각이다. 대구시체육회에 가입된 종목 단체만 71개에 이를 정도로 체육인들의 인원은 무시 못할 규모다. 선거에서 유무형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얘기다.

신재득 대구시체육회 사무처장은 "새로 선출되는 대구시장이 체육계의 현안을 충분히 이이해할 수 있도록 출마자들을 직접 만나서 설명을 할 계획"이라며 "묵은 현안들을 깊이 고민하고 해결할 수 있는 출마자가 대구시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지방세 의무 지원

체육계는 민간체육회장 체제로 전환하면서 재정 확보에 대한 불안감을 제도적으로 극복할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대구시가 최근 5년간 대구시체육회에 보조금으로 지원한 금액을 보면 200억~220억원가량이다. 하지만 단체장의 성향이나 개인적인 관심에 따라 양적 또는 질적으로 사업 규모가 결정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지방세의 일정 비율을 체육회에 의무 지원하게 되면 이 같은 변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게 체육계의 주장이다. 구체적으로 지방세의 1~2%가량을 체육회 의무 지원해 주기를 원한다. 대구시의 2021년 지방세 규모는 3조5천억원가량이다. 1~2%면 350억~700억원가량 되는 셈이다. 대구시체육회는 체육진흥조례에 명시적으로 담길 기대하고 있다.

실제 강원도의 경우 강원도체육회와 강원도장애인체육회에 지원하는 보조금의 합계액을 전전연도 도세 수입결산액의 2%에 해당하는 금액 이내로 하는 조례안을 강원도의회가 지난 3월 본회의를 통과시켰다.

대구시체육회 관계자는 "체육회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재정 자립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지방세 의무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했다.

◆다목적 체육관 건립

다목적 체육관 건립도 요구하고 있다. 100세 시대를 맞아 생활체육 동호인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훈련이나 대회를 치를 수 있는 실내 공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대구실내체육관를 프로농구 한국가스공사가 홈구장으로 사용하면서 공간 부족 문제는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코로나19 출현 전인 2019년 대구실내체육관의 대관 현황을 보면 태권도, 탁구, 배구 등 실내 스포츠 및 기타 행사가 73회에 걸쳐 135일 개최됐다. 3일에 1일 꼴로 각종 행사가 열린 셈이다.

한국가스공사가 홈구장으로 사용하면서 시즌 도중 다른 스포츠 종목이 사용하기가 쉽지 않게 됐다.

체육계는 5천 석 이상 규모의 다목적 체육관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최근 동계 실내스포츠에 대한 동호인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다목적 체육관에 더욱 목말라하고 있다. 또 장기적으로 2038년 대구광주 아시안게임 유치 등 각종 국제대회를 감안해 5천 석 이상의 대규모 다목적 체육관이 건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체육계 인사는 "각종 실내스포츠 대회를 유치할 수 있고, 동호인 클럽 활성화 등 다목적 체육관이 지역 실내스포츠 활성화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고 했다.

◆체육시설 운영권

육상진흥센터와 두류수영장, 대구사격장 등 대구 시내에 여러 공공 체육시설이 산재해 있다. 대다수의 공공체육시설은 대구시 산하 체육시설관리사무소와 대구시설관리공단 등이 맡고 있다. 대구시체육회가 운영하는 기관은 체육복지센터, 체육회관, 대구스포츠단훈련센터, 성서운동장, 대구스포츠기념관 등 5곳에 불과하다.

체육계는 체육시설은 전문성을 갖춘 체육단체가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체육인의 관점에서 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인천체육회는 박태환수영장 등 19개 체육시설을 운영하고, 광주체육회는 염주종합체육관 등 23개 시설을 맡고 있다.

이에 비해 대구시체육회는 5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장기적으로 체육회가 경영을 맡아서 재원을 마련해 해당 종목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로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체육회 관계자는 "비전문인들이 체육시설을 운영하면 활용보다는 관리에 방점을 두는 탓에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장기적으로 체육인들이 체육시설을 관리하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생활체육 지도자

대구 시내 8개 구·군에 103명의 생활체육 지도사가 있다. 이들의 기본급은 월 208만3천원. 15년 차 지도사나 신규 지도사의 급여가 동일하다. 대한체육회 기금 50%, 대구시비 25%, 구군비 25%로 구성돼 있다.

생활체육 지도사의 처우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이직률도 높았고, 사기 저하 문제도 나왔다. 그 결과 지난해 6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됐지만 급여 문제는 해결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체육회 관계자는 "정규직에 걸맞은 처우가 필요하다"며 "지방체육회 위상 강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 문제와도 연관돼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