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등 6대 광역시와 서울의 중형 아파트(전용면적 85㎡ 초과∼102㎡ 이하) 평균 가격 격차가 10억원 이상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은 13일 이런 내용을 포함해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통계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지방 중에서도 사정이 낫다는 광역시도 서울과 격차가 크고 지난 5년 동안 그 격차가 더 확대됐다는 게 조사 결과 드러났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대구, 광주, 부산, 울산, 인천, 대전 등 6대 광역시의 중형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3억3천608만원. 반면 서울 중형 아파트 값은 8억326만원에 이르러 6대 광역시와의 격차가 4억6천718만원이었다.
이 격차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 커졌다. 지난달 6대 광역시의 중형 아파트 값은 6억441만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서울 중형 아파트 값은 16억1천59만원에 이르러 6대 광역시와 격차가 10억618만원으로 벌어졌다. 서울 아파트 값이 더 크게 올라 가격 격차가 벌어진 것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일원동의 목련타운 전용면적 99.79㎡는 2017년 5월 8일 11억6천만원(11층)에 거래됐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매매 가격은 25억3천만원(5층)이었다. 5년 새 13억7천만원이 오른 셈이다.
반면 광역시 경우 상승세가 서울만 못했다. 대구 달서구 월성동 월성푸르지오 전용면적 101.86㎡ 경우 2017년 5월 15일 4억3천500만원(15층)에 매매됐다. 지난달 19일 매매 가격은 7억원(26층)으로 5년 전보다 2억6천500만원 올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정부의 잇따른 규제 탓에 서울의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며 "아파트 가격 격차뿐 아니라 청약시장에서도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