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7곳이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완화하거나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7~8일 중소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조사' 결과, 67.7%가 완화 또는 폐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점진적 완화가 39.0%, 전면 폐지가 28.7%였다.
이어 '코로나19 발생 상황과 연계해 조정'(24.3%), '현행유지'(5.7%), '점진적 강화 '2.3%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기여했는지에 대해서 응답기업의 절반(51.3%)은 '그렇다'고 답했고 15.3%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33.3%였다.
매출과 고객 수에 대해서는 완만한 회복 흐름을 기대했다.
응답기업은 코로나19 전인 2019년을 100으로 봤을 때, 매출액은 2020년 78.9%에서 지난해 80.6%로 증가했고 올해 85.7%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고객 수는 2020년 78.9%, 지난해 80.0%에 이어 올해 85.4%로 내다봤다.
향후 사회적 거리두기 폐지 시 코로나19 발생 이전 경영상황으로 회복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6개월~1년 이내(30.6%)가 가장 많았다. 이어 1~2년 이내(26.4%), 3~6개월 이내(16.6%) 순이었다. 지난 2년간 가장 도움이 된 정부·지자체 지원시책은 영업손실 보상(13.3%), 고용유지 지원(13.0%), 방역·진단용품 지원(6.7%) 순으로 답했다.
다만 응답기업의 절반 이상(57.3%)은 지원제도를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유로는 10곳 중 9곳 이상(93.6%)이 '지원대상 아님'을 꼽았다. 소상공인 피해보상이 적정했는지에 대해선 부족했다는 의견이 49.0%로, 적정했다는 응답(12.0%)을 크게 상회했다.
소상공인 피해보상이 적정했는지에 대해서는 부족했다는 의견이 49.0%로 적정했다는 응답(12.0%)을 크게 웃돌았다.
소상공인 활력 회복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가장 우선으로 지원해야 할 정책으로는 자금지원 확대(47.3%)가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20.7%), 고용유지 지원 확대(20.3%) 등의 순이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윤석열 당선인이 소상공인 손실보상과 피해 지원을 약속했고, 필요성에 대해 여야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만큼 조속히 추가지원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