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식약처마저…' 유튜브 영상 속 '파오차이' 표기 떡하니, 서경덕 "있을 수 없는 일"

식약처가 유튜브에 올린
식약처가 유튜브에 올린 '파오차이(泡菜)' 중국어 자막 영상. 유튜브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했다는 지적이 제기돼 논란이 되고 있다.

14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식약처가 공식 유튜브 영상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했다'는 네티즌의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제보에 따르면 식약처가 지난 2월 10일 유튜브에 올린 '임신부 건강을 위한 나트륨 다이어트-덜 짜게 먹기 1편'이라는 제목의 중국어 자막 영상에서 '파오차이'라는 표현이 두 차례 등장한다.

서 교수는 "정부 기관에서 이런 실수를 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특히 식약처는 김치에 관련한 다양한 일을 진행하는 기관이기에 이번 일로 국민들은 더 큰 실망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현재 이 영상은 비공개 상태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같은날 JTBC를 통해 "영상을 삭제 처리했으며 수정해서 다시 (유튜브에) 올릴 예정"이라며 "영상은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작업했고 (김치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잘못 표기가 된 것 같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더 꼼꼼하게 챙겼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 조만간 (파오차이 논란에 대한)설명 자료를 준비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서 교수는 지난 11일에도 한 유명 프랜차이즈 빵집에서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한 사실을 지적한 바 있다.

서 교수는 당시 "중국 측에 빌미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선 국내에서 잘못 사용되고 있는 표기를 바로 잡아야만 한다"며 "기업, 공공기관, 민간 부문에서 조금만 더 신경을 썼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파오차이는 양배추나 고추 등을 염장한 중국 쓰촨 지역의 절임 식품이다. 서양의 '피클'에 가까운 음식이지만 중국은 줄곧 한국 김치의 원조가 파오차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는 김치의 중국어 번역 및 표기를 '신치(辛奇)'로 명시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