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도지역 경북도의원 1석으로 통합…새로 전개될 공천 향배 촉각

예비후보들 “예산확보 등 허리 역할 차단…경북도내에서도 농촌 역차별”
더욱 치열한 공천 경쟁 속 선거전략 수립 등 혼선 가중 반발

청도군
청도군

국회의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경북 청도지역 경북도의원 선거구가 통합되며 한 석으로 줄어들자 출마 예상 후보들이 선거전략 수립 등 혼선이 가중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그동안 2개 선거구가 유지될 것이라 기대하며 지역을 누벼왔는데 허탈하다. 예비후보 등록과 공천신청, 면접까지 마친 상태에서 선거구 획정안이 나와 결국 반쪽 선거운동만 해온 셈"이라며 새롭게 전개될 공천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청도지역의 경우 1선거구(청도읍, 매전·금천·운문면) 2명, 2선거구(화양읍, 이서·풍각·각남·각북면) 2명 등 모두 4명의 출마 예상 후보들이 국민의힘 공천신청을 했다.

기존 1선거구에는 이선희(현 경북도의원) 예비후보와 이광동(감정평가사) 예비후보가 일찌감치 선거사무실을 내고 선거운동을 펼쳐왔다.

2선거구에는 김수태 청도군의회 의장과 손영우 국민의힘 청도군당협위원회 사무국장이 공천을 신청하고 선거채비를 서둘러 왔다.

하지만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한 자리를 놓고 뜻하지 않게 4명의 후보들이 더욱 치열한 공천경쟁을 벌여야 하는 처지가 됐다.

예비후보들은 "선거전략 문제부터 시작해서 군수선거와 같이 청도전역을 누벼야하는 어려움도 각오해야 하는 입장"이라고 토로했다.

예비후보 A씨는 "청도와 같은 농촌은 서울과 지방의 불균형뿐 아니라 경북도 내에서도 불균형과 역차별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며 "예산확보 등 중간 허리역할을 하는 도의원의 감축은 농촌지역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조치"라고 고개를 내저었다.

예비후보 B씨는 "선거구 획정 시한은 고사하고 선거운동이 본격화된 시기에 뒤늦게 획정을 하면 어쩌란 말인가"라며 "사무실 이전 문제 등 혼선과 어려움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